- 영문명
- The Student Evaluations of Instruction Quality Scale(SEIQs) : Construction and Validation for Prim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동욱(Donguk Kim) 손원숙(Wonsook Soh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577~6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수업의 질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생용 수업의 질 평가 척도(Student Evaluations of Instruction Quality Scale: SEIQ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수업의 질은 학생이 능동적으로 사고하고 동기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교실의 환경적 맥락으로 정의되었다. 이를 위해 D와 K지역 초등 5, 6학년 학생 1,51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수업의 질 평가 영역을 학생중심수업, 교사지지 및 학급경영으로 개념화한 후 관련 문항을 수집하여 문항풀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예비 및 본 검사를 실시하여 척도 타당화 절차를 시행하였고, 최종 문항은 총 27개로 구성되었다. Rasch 모형 분석 결과 척도 및 문항의 신뢰도는 적절한 수준을 보였고, 척도의 요인구조는 학생중심수업(학생참여수업, 참여수업지원, 참여수업조정), 교사지지 및 학급경영으로 구성된 위계적 3요인이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질을 판단하는 CLASS 척도(Pianta et al., 2008), 수업흥미 및 학업참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SEIQ 척도의 하위요인은 학습지원, 정서적 지원, 학급조직 뿐 아니라 정의적 성취와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의 질 평가 척도의 활용방안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tudent Evaluations of Instruction Quality Scale(SEIQs), for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instruction quality and focusing on students’ cognitive activation and classroom environment. The SEIQs comprises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triarchic quality of instruction model(Klieme et al., 2009). Three dimensions composed of (a) student-oriented instruction as teaching practices for supporting cognitive activation, (b) teacher support and (c) classroom management as environments for supporting motivation and preventing student problem behavior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512 Korean students ranging from Primary 5 to 6 sampled from 19 schools located in ten different reg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aspect of validity of the SEIQs was verified by analyzing Rasch rating scal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final 27 items. Hierarchical three factor model showed a good fit. Secon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by analyzing its correlations with the CLASS(Pianta et al., 2008) scale, students’ classroom instruc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five sub-factors such as student participation instruction, student participation support, student participation adjustment, teacher support and classroom manag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instructional supports, emotional supports and classroom organization domain of the CLASS(Pianta et al., 2008) scale. In addition, students’ classroom instruc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five sub-factors. Finally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차원 명명반응 모형을 위한 척도연계 방법
- 다분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4학년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분석
-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 회귀분석 상황에서 벌점화 추정 기법을 이용한 이상치 탐지방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용 수업의 질 평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중복부하 문항 활용을 위한 통계적 방법 탐색
- 자기효능감, 내재적조절동기,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무변화 성장모형의 실재적 정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수능 수학 영역에서 선다형 문항 선지의 측정평가적 기능 검토 및 단답형 확대 제안
- 조건부확률 문제에 대한 구조적·해법적·맥락적 분석: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확률과 통계>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