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이용수  104

영문명
A Comparison of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in the Accuracy of Attribute Pattern Estimation for small sample case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한정아(Junga Han)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737~75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적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에 따른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특히, 피험자의 수, 문항의 진단성 등의 다양한 검사 조건에서 기존 NPC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적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새롭게 제안된 GNPC 방법이 자료가 단순하거나 복잡한 형태의 인지진단모형에 부합하는 경우에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소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단순한 인지진단모형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비모수적 접근 방법 중 NPC 방법을 적용할 때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이 가장 높았다. 자료가 복잡한 인지진단모형에 부합하는 경우에는 GNPC 방법을 적용했을 때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이 가장 높았다. 즉, 모수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소규모 검사 상황에서 비모수적 접근 방법이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규모 표본에서도 문항이 진단성이 높을수록 피험자 능력 모수 추정의 정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approaches in terms of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examinee’s attribute pattern for small sample cas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newly proposed GNPC method under various test conditions such as number of examinees and item diagnosticity, when the data conform to a simple or complex cognitive diagnostic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f the data collected for a small number of examinee conform to the simple cognitive diagnostic model, the accuracy of the examinee’s ability estimation was highest when the NPC method was applied among the nonparametric approaches. If the data conform to the complex cognitive diagnostic model, the examinee’s ability was more accurately estimated in GNPC method.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a nonparametric approach could be a useful alternative in small sample cases where it is difficulty to apply a parametric approach. Also, even in small sample cases, the higher the item diagnosticity, the higher the accuracy of the examinee’s ability esti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정아(Junga Han). (2020).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교육평가연구, 33 (3), 737-758

MLA

한정아(Junga Han). "소규모 표본에서 모수 및 비모수적 접근 방법 간 인지요소 패턴 추정의 정확성 비교." 교육평가연구, 33.3(2020): 737-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