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2

영문명
The Effect of Applying Penalizing Wrong Answers and Short Answer Format in the Computerized Modified Multiple-choice Testing upon Backward Solving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송민해(Min Hae Song) 박주용(Jooyong Park)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3권 제3호, 561~57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선다형의 단점인 역행풀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역행풀이란 답지를 이용하여 답을 추측해내는 전략이다. 이를 막기 위해 문제만 먼저 제시하고, 학습자가 요청하는 경우에 선지를 짧게 제시하는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CMMT)을 고려했다. CMMT는 선지가 짧은 시간만 제시되어 역행풀이를 일부 줄일 수 있지만 학습자가 선지가 보이는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답을 추론할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CMMT 방식에 감점제와 선다형으로 풀기 전에 단답형으로 답을 쓰는 절차를 도입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실험을 진행한 결과 CMMT 방식에 감점 비율이 높을 때 역행풀이가 유의하게 줄어듦을 발견하였다. 전체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함께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 방향을 다루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a way of reducing the problem of multiple-choice test, which is widely used in current Korean educational setting. The problem of multiple-choice test is that students could find the correct answer from the options by guessing when they do not know the answer.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we considered the modified multiple-choice testing system (CMMT). CMMT could lessen the possibility of guessing by showing options briefly upon their request. However, even with the CMMT system, some students tried to select options during short time when they do not know the correct answer. The aim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if penalizing wrong answers and combining short answer could lower the possibility of guessing.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students who were tested with the directions that they will be penalized for wrong answers, but not for no response. In experiment 1, two factors were manipulated: levels of penalizing (high and low) and formats of testing (traditional multiple-choice format and CMMT forma)t. The number of no response and probability of guessing were compared.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no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probability of guessing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using the CMMT with high penalizing percentage. In Experiment 2, we replica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using higher penalizing percentages than those of Experiment 1.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were speculated in General discu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 1
Ⅲ. 실험1 결과 및 논의
Ⅳ. 실험 2 방법
Ⅴ. 실험 2 결과 및 논의
Ⅵ. 종합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민해(Min Hae Song),박주용(Jooyong Park). (2020).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33 (3), 561-575

MLA

송민해(Min Hae Song),박주용(Jooyong Park). "감점제와 단답형을 도입한 컴퓨터화 변형 선다형 시험 방식이 역행풀이 감소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33.3(2020): 561-5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