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이용수 59
- 영문명
- Research on Korean Textbooks of the Early 20th Century - Focusing on Four Textbooks Written by Westerner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가연(Kim, Gayeon) 김효은(Kim, Hyoe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3호, 565~59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세기 초 서양인에 의해 개발된 한국어 학습서를 조사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세기 초 출판된 한국어 학습서 중에서 예문이나 회화문이 포함된 4종의 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 한국어 학습서의 전체적인 구성 및 단원 구성 같은 형식적인 측면과 함께 편찬 배경 및 목적, 단원의 중심 내용, 예문의 유형, 예문 간의 의미 연결, 예문의 내용 등과 같은 내용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서의 전체 구성 및 단원 구성이 예문 또는 문법 항목을 제시하는 고립적이고 단순한 구성에서 여러 주제와 기능이 통합되는 양상으로 변화하였고, 학습서의 예문이 문장 단위에서 담화 단위로 나아가고 있었다. 또한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는 점진적으로 청각구두 교수법을 수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20세기 초에도 회화 중심의 학습서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학습서는 19세기 말의 학습서와 1960년대 학습서의 과도기적 성격을 갖지만 20세기 초 이후 발간된 학습서의 토대가 되었다는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xtbooks for learning Korean written by westerner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our different textbooks which include sample sentences and conversational dialogu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format (i.e. textbook structure and chapter organization) and content (i.e. background information and purpose of publication, lesson content, types and meaning of example sentences) as time progress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ing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the simple and isolated organization of the book and chapters became more complex and systematic with integrated topics and functions. Additionally, example sentences also began to appear in a discourse level and in pattern drills along with Audiolingual Method. These findings prove that Korean learning textbooks which focused on conversation practice exist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These textbooks have significance for Korean textbooks of the following generation as they have transitional features of the textbooks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textbooks of the 1960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한국어 학습서 분석
4. 20세기 초 한국어 학습서의 특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쓰기를 위한 교양소설의 고찰과 그 활용
- <전공 글쓰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전공별 수업모형 연구
-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발표-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 사이버대학 영어청취 교과목 콘텐츠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 위기사건을 활용한 문화간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 분석
- 이식된 정주대학체계
- Bloomsday in Seoul - James Joyce’s Ulysses and the East Asian Classroom
- 성격유형별 인지적 사고 및 글쓰기 과정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딜레마 내러티브를 활용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성균관대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자기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