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이용수 380
- 영문명
- Role and Reform Agendas of University as Commun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손승남(Son, Seung-Na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3호, 71~9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생태계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될 평생학습의 의미를 되새겨 본 후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대학평생교육의 현주소를 검토해 보고, 대학 내 평생학습대학의 정립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평생학습 의미검토를 통해 대학평생교육이 사회봉사, 계속교육, 보상교육의 기능을 두루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은 대부분 교양 및 취미 위주의 수익창출형 프로그램에 치중하고 있어 성인학습자의 관심과 요구를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평생학습중심대학은 선취업 후진학의 기조하에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이나 한시적 사업인데다가 지나치게 취업위주로 운영되다 보니 전문직업교육과 인문교양교육의 조화라는 전인교육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대학평생교육의 미래적 대안으로서 본고는 성인학부대학을 들고, 지역사회의 평생학습중심기관으로 대학의 위상을 제고하고, 성인학습자의 전공, 학위 개설 및 운영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파악함은 물론 일과 학습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운영 방식의 유연화와 성인학습자의 세대별 평생학습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lifelong learning, college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then to seek possibilities of establishing adult college for adult learners and opening adult degree program. The university as community lifelong learning center needs to be more active in public service, continuing education and compensatory education. But the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are usually suffering from lack of various programs. Moreover, they are operating commercial adult learning programs in oder to overcome their financial deficits. The new system of the lifelong learning centered university driven by the government also confronted some problems in that it is not sustainable and focused on enhancing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is kind of adult program can’t meet the educational goal such as harmony between professional and liberal education. Beyond limits of the presen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I suggested a new college for adult learners in the university.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the university needs to open the whol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ecure specialized ‘adult degree program’. The bridge between school to work or between work to school can be constructed on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support system which meet the needs and the real cycle of adult leaners. Avoiding the narrow path of vocational education humanities for adults should be established as a main program for the adult colleg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평생학습의 의미
III. 대학평생교육의 현주소 -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IV. 성인학부대학의 정립가능성 검토
V.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쓰기를 위한 교양소설의 고찰과 그 활용
- <전공 글쓰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전공별 수업모형 연구
-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발표-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 사이버대학 영어청취 교과목 콘텐츠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 위기사건을 활용한 문화간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 분석
- 이식된 정주대학체계
- Bloomsday in Seoul - James Joyce’s Ulysses and the East Asian Classroom
- 성격유형별 인지적 사고 및 글쓰기 과정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딜레마 내러티브를 활용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성균관대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자기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