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용수  251

영문명
The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홍효정(Hong, HyoJeong) 이재경(Lee, JaeKyung)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3호, 163~19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 사회는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혁명시대로, 기술융합뿐 아니라 지식도 융합하는 학문적 전환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여 대학도 사회 요구에 맞는 인재양성을 위해 다양한 변화와 새로운 시도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의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 강조되고 있는 창의·융합적 사고역량에 대한 개념을 재 정의하며, 교양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창의·융합적 사고역량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재 교양교육과정의 현황을 탐색하고,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하여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창의·융합적 사고역량의 교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대학의 인재상과 교육목표를 반영하여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교육목표 실현을 위해 타당하고 다양성 있는 내용을 선정과 동시에, 특정 교과목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전 교양교육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 교양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전 교양교육과정 교과목의 교육과정 구성도(지도)를 개발하고, 교과목 구체적인 강의계획서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창의·융합적 사고력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도 모색하고, 적절한 평가 준거 및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창의·융합적 사고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체계적인 틀로 만들고 운영할 수 있는 부분으로 행·재정적 지원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 창의·융합적 사고역량을 포함한 교양교육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향후 좀 더 바람직한 교양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our society is turning into the age of digital revolution when people can make different activities at a time, which results in the academic change of knowledge integration other than technology integration. In the face of these changes, the universities are now trying to make a variety of changes and new attempts for the education to raise talented students who meet the needs of the society. This study, in order to deal with the needs of the society for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redefines the concept of thinking ability that is emphasized nowadays, and checks out the changes in it.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meaning of th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focusing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research monitored the status quo of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and then se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e liberal education to enhance th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as follows. Firstly, the universities set the specific goals after reflecting what kinds of students they will raise and what they have to do for that. Secondly,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they select proper and various contents while applying them to all the liberal education courses, not limited to some class subjects. Thirdly, professors create a lecture map of the class subjects for all the courses of a liberal education, and write detailed syllabuses, so that those courses are systematically applied. Fourthly, they find the appropriate model of teaching on the creative and integrated ideas, and develop exacting standards and methods for the assessment. Lastl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will be offered as a form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operate the framework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to educational course for the improved thinking abilities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to give a direction to the course of a liberal education in the future while figuring out the status quo of a liberal education which includes the national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목차

1. 서론
2. 교양교육과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3. 창의·융합적 사고역량강화 교육과정 개발 방향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효정(Hong, HyoJeong),이재경(Lee, JaeKyung). (2015).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9 (3), 163-192

MLA

홍효정(Hong, HyoJeong),이재경(Lee, JaeKyung).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9.3(2015): 163-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