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이용수 49
- 영문명
- Explor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Everyday Creativity an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ineer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황순희(Hwang, Soonhee) 윤경미(Yun, Kyung-Mi)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3호, 399~43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생(engineering students)에게 부족하고 미흡하다고 알려진 소프트 스킬(soft skill) 중, 창의성(또는 창의적 능력, creativity)과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에 주목하여 두 요인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 함양 유관 교과목 개발 및 전문교양 교육에 설명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각각의 특성요인 및 개발방법, 교육방안 등에 관해서는 국내외에 상당히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실제 수업 환경과 관련하여 수행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적 창의성(everyday creativity)과 포괄적 의사소통능력(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이를 측정 도구로 선정하였으며, 다음 두 가지를 연구의 세부 목표로 설정하였다. 첫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포괄적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여 학년별,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두 변인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은 성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포괄적 의사소통능력은 성별,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일상적 창의성과 포괄적 의사소통능력 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이, 아울러 세부 하위 항목 간에도 높은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창의성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직접 논의한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두 요인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기초로 향후 유관 교과목 개발과 개선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s well as their influencing relationships, and finally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fields and educa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engineering students lack the two soft skills, creativ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both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m in terms of the engineering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86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especially their ‘everyday creativity’ an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have been evaluated.
Our findings showed that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in everyday creativity of engineering student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in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ird, we foun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creativ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ls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among variables of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quested to verify the validities of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day creativity an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refine the improvement plans for the related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쓰기를 위한 교양소설의 고찰과 그 활용
- <전공 글쓰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전공별 수업모형 연구
-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발표-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 사이버대학 영어청취 교과목 콘텐츠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 위기사건을 활용한 문화간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 분석
- 이식된 정주대학체계
- Bloomsday in Seoul - James Joyce’s Ulysses and the East Asian Classroom
- 성격유형별 인지적 사고 및 글쓰기 과정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딜레마 내러티브를 활용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성균관대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자기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