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이용수 157
- 영문명
- A Study on the Literacy Writing Utilizing Photograph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도(Kim, Young Do)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9권 제3호, 473~51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대체로 문학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학력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구조조정과 취업을 중시하는 대학평가에 의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은 자기소개서와 보고서 등의 실용적 글쓰기를 강조하는 경향으로 편중되고 있다. 문학적 글쓰기는 생활하는데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감성적 글을 매개로 자기표현의 욕구를 해소하는 문학적 카타르시스 효과를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순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문학적 글쓰기의 존재 가치를 높이고, 학생들이 글쓰기에 흥미를 가지는 데 도움을 주는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사진 특성에 주목한다. 그리고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의 이론적 체계를 위해 사진 기호학적 개념과 소설의 서사, 묘사, 대사 그리고 사진과 글의 연결이라는 네 가지 분석항목을 먼저 탐색한다. 특히 사진과 시를 접목한 디카시 그리고 소피 칼의 자전적 성격의 사진소설을 통해 문학적 글쓰기의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익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토론과 함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진을 직접 촬영하고, 이 사진을 토대로 문학적 글쓰기를 실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1인칭 시점의 자전적 사진소설을 중심으로 창작한 결과물을 분석하면서 새로운 문학적 글쓰기의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영문 초록
Writing courses of the university is largely comprised of the contents of literary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But writing courses of the university has been skewed by a tendency to emphasize the practical writing, such as writing reports and covering letter. The reason for this is that university evaluation to focus on restructuring and employment by depopulation in education. Literary writing does not give the economic benefits in living directly. But this writing is to cultivate humanity by the cathartic effect of literature to releasing the urge for self-expression through emotional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photograph as visual literacy to increase the existence of worth in literary writing and encourage students to produce more interesting in writing. The researchers were browsing first semiotic concepts of photograph for the theoretical system of literary writing using the photograph and four kinds of analysis items such as narrative, depicting, dialogue and connection of photo and text first. Especially this paper will induce to learn the methodology of literary writing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nature of the PhotoNovel of Sophie Calle and Dica-Poem in detail . And it is also taken with your smartphone with discussion the discussion and is proposed specific recommendations to the process of literary writing exercises based on this photo. And finally This paper will analyze mainly autobiographical novel and look for the ways of a new literary writing.
목차
1. 시작하는 글
2. 사진과 문학적 글쓰기의 필요성
3. 사진과 문학적 글쓰기의 상호관계와 분석항목
4. 분석과 창작 실습을 활용한 수업 사례
5. 마치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글쓰기를 위한 교양소설의 고찰과 그 활용
- <전공 글쓰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전공별 수업모형 연구
-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발표-토론 수업 사례 연구
- 사진을 활용한 문학적 글쓰기 연구
- 사이버대학 영어청취 교과목 콘텐츠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 위기사건을 활용한 문화간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담화표지 교육을 통한 학문 목적 텍스트 구성 교육
-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 교양기초교육을 통한 인문학과 대학 되살리기
-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보편적 의사소통능력의 상관관계 탐색
-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인식 분석
- 이식된 정주대학체계
- Bloomsday in Seoul - James Joyce’s Ulysses and the East Asian Classroom
- 성격유형별 인지적 사고 및 글쓰기 과정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과목의 융복합적인 운영에 관한 연구
- 딜레마 내러티브를 활용한 토론 수업 방안 연구
-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20세기 초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성균관대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자기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