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이용수 137
- 영문명
- The Study of a Kindergarten Educatio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전민호(Jeon, Min H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115~1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유치원교육이 본격화되었던 일제강점기 이전 시기인 개화기(1881-1910) 유치원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화기에 언론·학회지·교육학 교재 등을 통해 서구의 유치원교육과 제도에 대해 소개되었고, 교육법령과 언론을 통해 한국인을 위한 유치원이 운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학부에서는 1908년 4월 「고등여학교령」, 「관립한성고등여학교학칙」, 1909년 7월 「고등여학교령시행규칙」등을 공포함으로써 유치원교육의 시행을 명문화하였다. 둘째, 1908년 3월 무렵부터 러시아정교회 소속의 선교사 파벨 이바놉스키(1875-1919)가 러시아 공사관 내에서 한국인을 위한 유치원교육을 실시하였다. 셋째, 1908년 11월에 양양군에 있는 현산학교에서 유치과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넷째, 1909년 3월에 인천사립심상소학교부속유치원은 유치원 운영을 위해 의연금을 받았고, 1910년 밀양시의소에서는 유치원을 설립하여 원아수가 50여명에 달하였다. 다섯째, 1910년 무렵 선교계 사립학교에서는 유치과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kindergarten education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1881-1910) before Kindergarten education in Korea was in earnest in Japanese occupation. As a result, we introduced the education and system of kindergartens in the West through the media, academic journals, and educational materials at this time, and confirmed that kindergartens for Koreans were operated through the education statutes and the media. First, the Education Ministry stipulated the implementation of kindergarten education by promulgating the 「Higher Girl’s School Regulations」in April 1908, the 「Regulations for Management of Higher Girl’s School」and the 「Rules for Enforcement of Higher Girl’s School」in July 1909. Second, from around March 1908, Pavel Ivanovsky(1875-1919), a missionary from the Russian Orthodox Church, provided kindergarten education for Koreans within the Russian legation. Third, in November 1908, the kindergarten department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at Hyunsan School in Yangyang County. Fourth, in March 1909, the Incheon Private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received a pension fund for the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and in 1910, Milyang City Hall established a kindergarten and had 50 children. Fifth, around 1910, the missionary school set up and operated a kindergarten department.
목차
Ⅰ. 시작하며
Ⅱ. 언론, 학회지, 교육학 교재를 통한 유치원교육의 소개
Ⅲ. 법령과 언론에 나타난 유치원교육의 전개
Ⅳ.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