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용수 1,626
- 영문명
- Exploring the Mediation Effect of Flow o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Smartpad-based Math Classe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조애영(Cho, Ae-Young) 박인우(Park, Innwoo) 고유정(Ko, Yu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163~18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수업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사이의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독립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학습몰입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패드를 활용하여 3주간 수학수업을 진행한 후,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학과 단원평가를 통해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습만족도(β = .526)와 학업성취도(β = .481)를 모두 유의미하게 예측함을 확인하였고, 몰입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만족도, 디지털 리터러시와 성취도 관계에서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업 환경에서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교과 커리큘럼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합시키고 학습몰입 전략을 동시에 고려하는 수업 방안 및 자료의 구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flow,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on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math learning environment using smartpads. The study proposed a hypothesized model, where digital literacy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and flow as a mediating variable. 113 of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ere taught mathematics using smartpads for 3 weeks. After the math lessons,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survey that includes questions about digital literacy, satisfaction, and flow. Math achievement was also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literacy predicted both satisfaction(β = .526) and achievement(β = .481). It was also found that flow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atisfac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achievement. Based on th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y and materials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nto each content area with strategy to enhance flow while students’ learning.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