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이용수 429
- 영문명
- Analysis of learning behavior and effect factors on the completion of Open High School learners through learning analytic approach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은주(Lee, Eunjo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업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자의 수행을 예측하고 잠재적 쟁점을 찾아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학습분석학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수행된다는 측면에서 교육 학습 환경을 바꿀 수 있는 미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송고의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2018년 1학기 동안 운영하면서 쌓인 학습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 행태를 규명하고 학습자의 학습 행태 중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스템 상 로그데이터 100,900개의 데이터 중 학습자 기본 데이터, 학습활동 데이터, 운영 데이터 모두를 갖고 있는 ID만 분류하여 3098명의 961,620개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요일별 학습 빈도는 화요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다른 요일과 큰 차이는 없었고 시간대별 학습 빈도를 살펴본 결과 주중과 주말 모두 오전보다는 오후 시간대에 학습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별, 연령별 이수율을 분석해본 결과 이수율이 가장 낮은 집단은 30대 남성집단이었으며 형성평가 평균 점수 역시 가장 낮은 집단이 30대 남성 집단이었다. 3월 접속 여부에 따른 형성평가 점수 차이를 살펴본 결과 3월 접속 여부에 따라 형성평가의 점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 행태 요인 중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3월 학습 회차 수, 회차당 평균 학습 횟수, 형성평가 평균 점수 모두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행태에 따른 맞춤형 학습 지원 서비스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자의 학습 행태에 대한 좀 더 심도있는 분석을 위해 추가적인 데이터를 수집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learning behaviors of Open High school learners by analyzing accumulated learning log data while operating online class contents of Open High School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8, and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the completion of learners learn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998,620 data of 3098 people are finally analyzed by classifying only IDs having all of learner basic data, learning activity data, and operational data among 100,900 log data on th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uesday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learning,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 days of the week.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gender and age completion rate, the group with the lowest completion rate is the male group in 30s, and the group with the lowest score on the formative evaluation is the male group in the 30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formative evaluation scores according to the access to March, the results of the formative evaluation ar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ccess to Marc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the number of learning cycles in March, the average number of learning per session, and the average of formative evaluation are all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omple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customized learning support service plan according to learner s learning behavior and suggest that additional data should be collected for more in-depth analysis of learner s learn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