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342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dolescents Self-Image Scale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설정희(Seol, Jeong-hui) 박선우(Park, Seon-woo) 천성문(Cheon, Seong-Moon)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예비문항 추출을 위해 자아상 관련 선행연구 및 기존 자아상 관련 척도를 분석하였고, 포커스 그룹과 청소년들의 면담을 실시하여 기초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후 3차에 걸쳐서 각 문항의 이해도와 하위척도 문항의 적절성 등에 대해 검증하여 최종 예비문항 58문항이 선정되었다. 최종문항 선정을 위해 청소년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기확신, 부모지지, 자기정서, 대인지지로 구성된 26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가족관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The self-image-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existing self-image measure to extract preliminary questions were analyzed, and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by interviewing focus groups and adolescents. Then, the final preliminary questions 58 were selected by verifying the understanding of each item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sub-scale questions three times. For the final item selection, 402 adolescents were survey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26 items of scale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self-confidence, parent support, self-emotion, and interpersonal knowledge. The authoritative validity was conduc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ith depression, subjective well-being, and a family relationship scale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eveloped self-image scale of adolescents, and all of them were found to be go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