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이용수 2,534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role of school members for stable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박균열(Park, Kyun-Yea) 주영효(Joo, Young Hyeo) 이인수(Lee, In Su)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87~11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교장, 담임교사, 학부모의 역할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및 고교학점제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 역할 관련 선행 연구를 고찰한 후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고교학점제 이해 정도와 인식, 고교학점제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전국 시범학교 교장, 교사, 학부모 15명과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Strauss와 Corbin의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을 준용하여 분석한 주요 면담 결과를 정리하면, 교장의 경우 ① 고교학점제 인식 및 이해 제고를 위한 리더십 발휘, ② 학교 구성원 간 의사소통 경로 마련과 신뢰 관계 구축 역할, ③ 교육과정 전문성 및 수업 혁신을 위한 전문가학습공동체 활성화에서 적극적 역할 등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담임교사 역할로는 ① 학생들의 상담가 역할, ②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학습 컨설턴트 역할 수행 필요 등이 제시되었다. 학교교육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부모의 역할로는 ① 자녀와의 소통을 통한 자녀교육 책임 및 교육과정 이수에 대한 책임감 강화, ② 고교학점제 인식 제고 및 불신 해소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학교 구성원의 고교학점제 인식 전환과 적극적 참여 여건 조성을 위한 교장의 리더십 발휘, 학교 구성원 간 신뢰관계 구축과 활성화의 촉진자 역할 수행을 위한 교장 직무연수 시행, 학교 단위의 전문가학습공동체의 공식조직화 또는 비공식조직화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oles of principals,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SC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both the HSCS and the role of school members for implementing the HSCS, and FGI was conducted with 15 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al s roles are to relieve anxiety of students and parents for the HSCS, to establish trust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and to play an active role in activ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for the HSCS; Second, the homeroom teachers’ role can be summarized as a student’s counselor and a learning consultant; and third, the parents’ roles can b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the formation of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school teacher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such as the principal’s leadership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HSCS and the implementation of principal job training to fulfill the role of facilitator. Also, the study presented formal or informal organizing of the PLC at the school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면담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일상생활활동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체중복장애학생의 구강관리 지원: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