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이용수 446
- 영문명
- IPPA-R Validation Study for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영모(Jeong, Yeong-Mo) 김수동(Kim, Soo-D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3輯, 191~2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Gay Armsden, Mark T. Greenberg가 개발한 IPPA-R을 한국의 초등학교 1~2학년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도구를 수정·보완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크게 연구진에 의한 IPPA-R 문항 번안, 1차 전문가 협의회, 1차 Delphi 조사, 2차 전문가협의회, 2차 Delphi 조사의 다섯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분석은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 문항들에 응답한 전문가 집단의 평균, 표준편차를 통해 문항의 개선 정도를 파악하고 Lawshe가 제안한 CVR(content validity ratio)값과 Ayre & Scally(2014)의 CVR 임계치를 활용하여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기존의 IPPA-R은 자기기입식 조사방식에서 교사가 아동에게 질문지를 읽어주고 아동이 이에 답하는 형태로 바뀌었으며, 문항 수가 아버지용 14문항, 어머니용 14문항, 또래용 14문항으로 축소 조정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supplement, and validate the IPPA- R(Inventory of Parents and Peer Attachment-Reversion) tools to apply IPPA-R tools developed by Gay Armsden, Mark T. Greenberg to the 1st and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Delphi technique was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ss was largely divided into five stages: IPPA-R item drafting by the researchers, the 1st Expert Council, the 1st Delphi technique, the 2nd Expert Council, and the 2nd Delphi technique.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s showed the improvement of the questions of the IPPA-R tools through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of the group of experts 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questions, and analyze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s by utilizing the CVR (content validity ratio) values proposed by Lawshe and the CVR critical values of Ayre & Scaly(2014).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existing IPPA-R changed from a self-subscribed survey method to the survey method which the teacher reads the questionnaire to the child and the child answers and fills out the questions form.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as reduced from 25 to 14 for fathers, 14 for mothers, and 14 for pe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용 자아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습분석학적 접근을 통한 방송고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이수 여부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저항인가, 권력인가? 교원성과상여금제도에 관한 자서전적 방법의 연구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 개화기 유치원교육 연구
- 총장직선제의 현실과 과제
- 스마트패드 기반 수학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IPPA-R 타당화 연구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