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이용수 293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Demand on Ro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경순(Yoon, Kyoung Soon) 황혜정(Hwang, Hye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581~6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영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수준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 시립·민간·가정어린이집 52개원의 영아보육교사 484명으로, 이들에게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조사를 하였다. 2017년 9월 18일~9월 22일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민간어린이집 교사, 40대교사, 경력 1년 미만의 교사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높았다. 둘째,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역할에 대한 요구도가 비교적 높았다. 셋째,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수준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역할에 대한 요구수준도 높아짐을 의미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의 영아보육교사들에게 전문성을 함양 시킬 수 있는 보다 다각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needs for roles in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expertise and needs for roles in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and 484 early childhood care teachers from 52 municipal, private and home-based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etween Sep 18 and Sep 22, 2017,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s, teachers in their 40s, and teachers with less than 1 years of experience had relatively high demand on their roles, although it varied by sub-factors. Second, private childcare center teachers experienced relatively high demand on role. Thir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demand on rol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is signifies that highe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leads to higher demand on role in infant care teachers. This study implies that multidirectional supports for infant care teachers are needed to develop professionalism in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철회]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적 및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습교사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현장 교원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인식 및 학습자 관점의 이상적 영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짝 하브루타 활동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 질문의 특성 및 유아의 인식
- 아동의 사회경제적 결핍, 학업성취와 행복감과의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 개념 ‘관계’ 단원 내용 분석
-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취업상담활동의 매개효과 연구
-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행복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영어동화 비교 분석
-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영미 아동문학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추론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문법능력에 끼치는 영향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다중회귀분석/DEA 결합모형을 활용한 사립전문대학 성과평가
-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 대학생 취업준비행동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역량의 변화궤적과 예측변인 탐색
-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Anxiety and EFL presentations: How instruction focused on reducing anxiety improves performance
-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 논설문 쓰기에서 내용 생성 단계의 인지 과정 탐색
-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주제 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쓰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말놀이 활동에서 겪은 유아와 교사의 경험
-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 단원 재구성 경험과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2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