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598
- 영문명
-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Cont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15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방기혁(Bang, Gi Hyeo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461~48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별로 분석하여 학교 현장 적용이 가능한 교수·학습 활동 자료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 및 핵심가치 등을 고찰한 문헌 연구와 분석 준거로 선정된 핵심가치 12개를 학교 급 및 학년 군별로 구조화하여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에는 11개 교과에 6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사회’, ‘도덕’, ‘국어’ 교과 순으로 문화다양성 존중, 공감, 공존, 공감, 공익, 친구 및 가족 관계, 준법, 민주 의사 결정, 공정, 인권, 평화, 문화유산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중학교에는 8개 교과에 48차시의 수업 시수가 문화다양성 교육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국어’, ‘도덕’, ‘사회’ 교과 순으로 공감과 배려, 의사소통, 존중, 공감, 공존, 공정, 사회 정의, 민주 시민 의식 등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초·중학교의 문화다양성 교육은 관련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도덕’, ‘국어’, ‘사회’ 교과 중심으로 운영하고, 기타 관련된 교과에서도 다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분석된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을 토대로 교수·학습 활동 자료를 다양하게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교육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학교 교사 대상의 문화다양성 교육 직무 연수 또는 자료 활용 연수 등의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15 by the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sites. For this, 12 core values selected as the criteria for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considering the concept and cor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re structured by school class and grade group, and the contents analysi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a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68 class hours in 11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48 class hours in eight subjects were related to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ncluded a lot of social justice, democratic citizenship, compliance, democratic decision-making, fairness, human rights, peace, and cultural heritage.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operates around the moral , language , and society subjects which contain a lot of related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approach diversely in other related subjects. To this end, it is based on the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alyzed in this stud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can be developed, and the training and uti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for school teachers can be carried out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development materi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철회]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적 및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습교사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현장 교원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인식 및 학습자 관점의 이상적 영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짝 하브루타 활동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 질문의 특성 및 유아의 인식
- 아동의 사회경제적 결핍, 학업성취와 행복감과의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 개념 ‘관계’ 단원 내용 분석
-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취업상담활동의 매개효과 연구
-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행복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영어동화 비교 분석
-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영미 아동문학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추론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문법능력에 끼치는 영향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다중회귀분석/DEA 결합모형을 활용한 사립전문대학 성과평가
-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 대학생 취업준비행동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역량의 변화궤적과 예측변인 탐색
-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Anxiety and EFL presentations: How instruction focused on reducing anxiety improves performance
-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 논설문 쓰기에서 내용 생성 단계의 인지 과정 탐색
-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주제 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쓰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말놀이 활동에서 겪은 유아와 교사의 경험
-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 단원 재구성 경험과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2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