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82
- 영문명
- The Effects of Baseball Players’ Mindset on Resili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원영식(Won Yeongsik) 김은지(Kim EunJi) 허정훈(Heo JungH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7년 9월 10일부터 10월 20일 약 6주 동안 서울, 경기, 충남, 전남, 경남권지역의 아마 및 프로선수 대상으로 연구진이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국야구위원회(KBO), 대한소프트볼야구협회(KBSA)의 아마추어 및 프로로 등록된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소속에 따른 마인드셋과 회복탄력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아마추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구선수 마인드셋(성장, 고정)과 회복탄력성(감사하기, 공감능력, 낙관성, 감정조절)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야구선수들의 마인드셋(성장, 고정)이 회복탄력성(감사, 공감, 낙관,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성장 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감사하기, 감정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마인드셋은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중 낙관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다루었으며, 스포츠 분야에서 마인드셋을 다룬 기초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kes mindset as its independent variable which has hardly been studied practically for application to the academic field. In fact,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athletes’ mindset. To verify them, this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320 amateur and professional players in Seoul, Chungnam, Jeonnam, and Gyeongnam. Primarily,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hecked with an expert group, an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factor analysis was done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mindset difference by where they were affiliated to, professional play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resilience by where they were affiliated to, professional play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general.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baseball players’ mindset on resilience, among the subfactors of mindset, mindset for growth influences resilience positively while mindset of fixation influences optimism, one of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negativel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baseball players’ mindset and resilience, mindset for growth, one of the subfactors of mindset,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and mindset of fixation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has discussed the effects of baseball players’ mindset on resilience which can provide concrete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the field. This study has investigate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orrelation between baseball players’ mindset and resilience and provided foundational material for research dealing with an even broader range. Moreover, research on psychology has hardly been studied mindset in sports so far; therefore, it is needed to subdivide the area according to the status of Korean athletes and develop scales properly afterwar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철회]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적 및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습교사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현장 교원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인식 및 학습자 관점의 이상적 영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짝 하브루타 활동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 질문의 특성 및 유아의 인식
- 아동의 사회경제적 결핍, 학업성취와 행복감과의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 개념 ‘관계’ 단원 내용 분석
-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취업상담활동의 매개효과 연구
-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행복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영어동화 비교 분석
-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영미 아동문학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추론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문법능력에 끼치는 영향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다중회귀분석/DEA 결합모형을 활용한 사립전문대학 성과평가
-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 대학생 취업준비행동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역량의 변화궤적과 예측변인 탐색
-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Anxiety and EFL presentations: How instruction focused on reducing anxiety improves performance
-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 논설문 쓰기에서 내용 생성 단계의 인지 과정 탐색
-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주제 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쓰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말놀이 활동에서 겪은 유아와 교사의 경험
-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 단원 재구성 경험과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2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