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이용수 332
- 영문명
- Analysis of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옥주(Lee Ockjoo) 윤지영(Yoon Ji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335~3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제편의 내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2015년 이후에 발행된 유아음악교육 교재 20권으로, 유아음악교육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교재에 나타난 유아음악교육의 목적은 유아의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것을 많이 기술하였으며, 활동의 교육목표는 기술, 태도, 지식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의 내용은 이론에서는 음악활동 유형, 누리과정 요소, 음악적 요소의 순으로, 활동에서는 음악활동 유형, 음악적 요소, 누리과정 요소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음악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은 음악교육 학자별 교수학습방법의 경우 오르프, 코다이, 달크로즈 순으로, 음악활동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은 노래 부르기와 음악 감상하기, 악기연주하기 순으로, 음악활동 자료는 음원, 일상적 자료, 사진이나 그림, 노랫말판 또는 악보, 악기, 도구, 그림악보, 동영상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음악교육의 평가는 이론에서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평가, 음악수업에 대한 평가, 교사의 음악교수능력에 대한 평가의 순으로 기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에서는 회상하기와 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대학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원양성의 실행적 측면에서 보완해야 할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ory and practice, focusing on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music textbook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ublished after 2015, and divided into the areas of purpose and goal, contents of educ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textbook was to describe the improvement of children s musical ability and the whole person s development. Second, the contents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ere in the order of music activity type, NURI Curriculum element, and musical element, and in activity, music activity type, musical element, and NURI Curriculum element. Thir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s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method by music education scholars, in the order of Orff, Kodai, and Dalcroze. Music activity data was in order of sound source, daily data, photograph or picture, lyrics or score,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picture-score, and video. Fourth, the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was in the order of evaluation of mus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evaluation of music class, and evaluation of music teaching ability of teacher in theo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pecific implications t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철회]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적 및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습교사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현장 교원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인식 및 학습자 관점의 이상적 영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짝 하브루타 활동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 질문의 특성 및 유아의 인식
- 아동의 사회경제적 결핍, 학업성취와 행복감과의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 개념 ‘관계’ 단원 내용 분석
-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취업상담활동의 매개효과 연구
-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행복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영어동화 비교 분석
-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영미 아동문학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추론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문법능력에 끼치는 영향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다중회귀분석/DEA 결합모형을 활용한 사립전문대학 성과평가
-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 대학생 취업준비행동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역량의 변화궤적과 예측변인 탐색
-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Anxiety and EFL presentations: How instruction focused on reducing anxiety improves performance
-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 논설문 쓰기에서 내용 생성 단계의 인지 과정 탐색
-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주제 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쓰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말놀이 활동에서 겪은 유아와 교사의 경험
-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 단원 재구성 경험과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2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