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이용수 476
- 영문명
- Analysis of Trends and Tasks in the Domestic Qualitative Research about Special Education Classes: 2010~20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정(Park seonjeong) 곽승철(Kwak seungch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4호, 273~3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0년~2019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42편을 분석했다. 그 결과 특수교육 수업 관련 질적연구는 2010년대 초반부터 약간 증가했다. 연구 주제는 수학, 국어교과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비교과 영역은 통합교육, 수업멘토링, 순회교육 등 다양했다. 또한 교사의 수업경험에 초점을 둔 연구가 학생의 수업경험보다 많았다. 연구 유형은 실행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은 다양했다. 연구 참여자의 경우 교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참여학생의 장애 범주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자료 분석은 귀납적 자료 분석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연구의 진실성 확보 방법은 동료 검토가 가장 빈번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면 첫째, 장애학생들의 수업 경험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 방법의 엄밀성이나 연구의 진실성 확보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이 연구는 특수교육 수업현상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들에게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es o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present the direction and tasks of qualitative researches on this field.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42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August 2019 were selected. As a result, first, domestic qualitative research on special education classes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the early 2010s. Second, there were many papers on mathematics and Korean language subjects, and the extra-curriculum areas were diverse, such as inclusive education, class mentoring, and Itinerant education. In addition, more studies focused on teacher s teaching experience tha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hird, the most common research type was action research. Fourth,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papers with 6~10 participants was the most, and the teacher wa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participants. The disability categor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was the most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most than 4 months and less than 7 months. In the data collection method, individual interview was used the most. In addition, Inductive analys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analysis method. Lastly, The study participant review was most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and tasks of subsequent research were presented. First,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various types of qualitative research on classes need to be conducted. Third, efforts to secure the rigor of research methods and the integrity of research are needed. This study may be a reference for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practicing better special education classes or for researchers interest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철회]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학업적 및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수습교사제 도입의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현장 교원의 인식 분석
- 초등학교 3, 4학년 음악 교과서의 감상 영역 분석
- 방과후 놀이유치원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주도성과 놀이몰입과의 관계
- 기후변화 페임랩(FameLab)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초·중학교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문화다양성 교육 내용 분석
- 탈북대학생의 영어 학습 인식 및 학습자 관점의 이상적 영어 교육 프로그램 연구
- 짝 하브루타 활동에서 나타난 만5세 유아 질문의 특성 및 유아의 인식
- 아동의 사회경제적 결핍, 학업성취와 행복감과의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 개념 ‘관계’ 단원 내용 분석
- 교원양성대학 환경교육 관련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취업상담활동의 매개효과 연구
-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행복감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디자인사고 기반 문제해결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성인애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과 진로신념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영어동화 비교 분석
- 플립러닝 기반 대학수업에서 팀학습활동,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
-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영미 아동문학 코퍼스 자료를 활용한 데이터 추론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문법능력에 끼치는 영향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에 대한 요구도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 다중회귀분석/DEA 결합모형을 활용한 사립전문대학 성과평가
- 중학교 국어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
- 대학생 취업준비행동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역량의 변화궤적과 예측변인 탐색
- 과정중심평가 만들어 가기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Anxiety and EFL presentations: How instruction focused on reducing anxiety improves performance
- 충동성과 음주문제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고등학생 논설문 쓰기에서 내용 생성 단계의 인지 과정 탐색
- 대학생의 성실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조절효과
- 유아들의 또래 괴롭힘 상황에서 피해 유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소진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질환자 부모를 둔 학령기 아동을 위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북한이탈대학생의 대학 교육 경험 탐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오르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와 어머니와 교사의 인식비교
-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 주제 중심 대화식 저널쓰기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 표현력과 쓰기흥미에 미치는 영향
- 나는 어떻게 연구자가 되는가?
- 말놀이 활동에서 겪은 유아와 교사의 경험
-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신체활동 중심의 즐거운 생활 단원 재구성 경험과 저학년 신체활동 활성화 방안
-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교육대학원 학생들의 경험 연구
- 유아음악교육 대학교재 분석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지각한 지도자의 자율성지지와 운동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운동열정의 매개효과 검증
- 진로 및 동기강화 집단상담이 학사경고생의 학습동기,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제도시행 초기에 살펴본 누리과정 보조교사의 업무 특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2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