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Fast Foods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숙(Lee Sung Su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5권 제4호, 121~13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470 6th grade students(boys : 236, girls : 234) in September, 2002.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mean body mass index of boys and girls was 18.72, 17.76, respectively. The perceived physical condition of the subjects was that 70.2% were healthy and 4.0% were unhealthy. The subjective health disorders were drowsiness, tired eyesight, and frequent headaches. Their preference for fast food was : like(67.6%), moderate(29.4%), dislike(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resulting from the fast food preference. The perceived physical condition of subjects preferring fast food was low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frequency in eating fast food was 1-2 times/week(34.3%), 1-2 times/month(23.3%). The reason for eating fast food was because of the good taste(66.0%) and its convenience(20.2%). The subjects’ first choice in fast food was the hamburger and the least preferred was noodles or dumplings. The effect of fast food on eating habits was an increase in weight(19.4%) and an increase in fat intake(18.9%). 39.9% of subjects offered suggestions for better fast food service such as lowering the price, 28.3% wanted a greater variety in the menu. 23.8% of subjects wished there were more Korean traditional food items in the fast food chain. From this result it appears that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domestic brand fast foods and educating the youth regarding proper food selections and eating pattern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영양교육 효과
- 우리나라 실과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Overview on Agr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실과교육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대안
- 실과 사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행동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전담 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재량활동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실과교육적 접근
- 실과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통합적 수업 설계 전략
- 실과 가꾸기 및 기르기의 노작 활동 흥미도와 아동 인성과의 관계
- 초등실과 교과의 놀이수업 적용을 위한 개념 모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아동의 패스트 푸드 이용 실태 조사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비문학 예술 지문 분석과 미술교육에의 적용
-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적용한 미술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사전계획 (Forethought) 단계를 중심으로
- 직접교수법을 적용한 디지털 기반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팅커캐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