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s and Its Improvem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균(Kim Hyung Gyu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5권 제4호, 93~10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find problems, and to suggest directions to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on curriculum, curriculum development and curriculum evaluation. Main problem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were classified into such four categories as general remarks of curriculum,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physical environment.
To solve the problems, following directions should be considered.
1.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and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and it should be made public.
2.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name of subject should be considered as soon as possible.
3. The cavity of curriculum should be conquered though discretional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4. Teachers’ creative thinking and activity for the textbook should be required
5. Practical arts teaching-learning materials should be variously developed in order to adhere closely to education field.
6. The facility and equipment of practical arts should be variously developed in order to supply to education field.
7.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for elementary teacher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level up their abiliti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7차 실과교육과정의 운영 및 적용상의 문제점
Ⅲ. 7차 실과교육과정의 운영 및 적용상의 개선방안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영양교육 효과
- 우리나라 실과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Overview on Agr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실과교육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대안
- 실과 사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행동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전담 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재량활동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실과교육적 접근
- 실과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통합적 수업 설계 전략
- 실과 가꾸기 및 기르기의 노작 활동 흥미도와 아동 인성과의 관계
- 초등실과 교과의 놀이수업 적용을 위한 개념 모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아동의 패스트 푸드 이용 실태 조사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