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ing of Conceptual Model for Appling the Pla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Chung Mee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5권 제4호,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of conceptual model for appling the play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study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actical arts is the work education in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work education which is between work and play is the one of the play education including occupation. The education contents that is not includes occupation is excepts from work education. So the content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s divided to work education and non-work education.
Meanwhile, there are five types of pla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can be apply to practical arts education: sensible, constructive, inquisitive, imaginary, and games including rules.
Especially, the activities in the sensible and constructive play types are correspond with work education contents in practical arts. This result shows that the practical arts is the play itself. So there is no needs of the play appling to practical arts but a groping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ase of the contents of non-work education, the activities in inquisitive and imaginary plays and games including rules can be applied.
The conceptual model for appling the play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ttribute to develop instructional pla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초등실과교과
Ⅲ. 놀이 수업
Ⅳ. 실과교육의 놀이 수업 적용을 위한 개념 모형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영양교육 효과
- 우리나라 실과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Overview on Agr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실과교육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대안
- 실과 사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행동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전담 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재량활동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실과교육적 접근
- 실과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통합적 수업 설계 전략
- 실과 가꾸기 및 기르기의 노작 활동 흥미도와 아동 인성과의 관계
- 초등실과 교과의 놀이수업 적용을 위한 개념 모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아동의 패스트 푸드 이용 실태 조사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