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verview on Agr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경철(Han Kyung Chul)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5권 제4호, 15~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 초ㆍ중등학교에서 실과영역으로서의 농업교육에 관한 문헌을 고찰을 함으로서 미래 우리나라 농업교육과정의 개발과 시행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4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역Ⅰ에서는 실과 내에서의 농업교육의 중요성과 초ㆍ중등학교에 개설된 농업교육과정을 설명하였다. 영역Ⅱ에서는 공립 초ㆍ중등학교의 농업교육에 대한 학력 기준을 다루었으며 주정부의 학력 기준 설정에서 필요한 요건들을 문답(question and answer) 형식으로 고찰하였다. 영역Ⅲ에서는 주정부의 농업교육과정 기준과 수준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주 정부의 학력 기준을 지역과 단위 학교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역 Ⅳ에서는 초등교사의 농업에 관한 지식과 수업 활동들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농업의 타 교과와의 통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실에서의 농업활동에 대한 교사의 의욕, 농업 관련 산업 및 기술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초등 교육과정에서 농업을 타 교과와 통합 운영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Introduction
Part Ⅰ. Agricultural education as one of major domains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art Ⅱ. Academic Standards for Agricultur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Elementary and Secondary)
Part Ⅲ. Curriculum Standards and Benchmarks in Agricultural Education
Part Ⅳ. Integration of Agricultural Awareness and Class Activities of Elementary Teachers into the Curriculum
Reference cite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들을 위한 영양교육 효과
- 우리나라 실과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Overview on Agricultural Education as Part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 실과교육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대안
- 실과 사육 프로그램이 정의적 행동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과 전담 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 재량활동의 교수-학습자료 개발을 위한 실과교육적 접근
- 실과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 기초한 통합적 수업 설계 전략
- 실과 가꾸기 및 기르기의 노작 활동 흥미도와 아동 인성과의 관계
- 초등실과 교과의 놀이수업 적용을 위한 개념 모형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아동의 패스트 푸드 이용 실태 조사
- 학술지 발간 일정 안내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