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임 기술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교직적응
이용수 20
- 영문명
-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ofessional Adjustment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훈(Lee Myung Hun) 나승일(Na Seung Il)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3호, 175~1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measure the professional adjustment level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The population for survey was all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who were employed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 2003 to September 1, 2005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which consisted of 27 professional adjustment items including 6 domains.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sample by mail. One hundred ninety seven out of 33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rough data screening process, 18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i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adjustment level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was a little more than average(3.41). In the six domains of professional adjustment, the Human Relationship was the highest, but the Norm & Order Observance was the lowest. Four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the professional adjustment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They were gender difference, terms of job experience, a number of teaching subject, obtaining a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course. However, school level (middle school/high school), school location, and school size had no affect on professional adjustme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생활양식과 실과교육내용의 관련성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의 소비자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투고규정 외
- 초등 교육과정에 있어 생명과학 관련 교육내용 분석
-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Toward Technology by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United States
-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실과실습실 설비ㆍ교구 배치의 최적화 방안
-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심화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교 생활기술교육 내용의 한 영역으로서 ‘마인드맵 소프트웨어’의 도입을 위한 탐색
- 초임 기술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교직적응
- 우리나라 근대 초등 교육 정책과 초등교원 양성 제도의 변천
- 초등 실과 의생활 영역에서의 환경교육이 아동의 의생활 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합리적인 용돈 활용을 위한 웹기반 컨텐츠 개발 및 적용 효과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논문의 분석과 종합
- 초등실과 「재봉틀로 용품 만들기」단원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Development of a Digital Textbook on Plant Transpiration Using Pages for High School Students
-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nd Use of Scientific Models from a Resource Perspective: Analyzing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ERM and PRT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with a Generative AI for ‘Exploration and Design of Career and Job’ Less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