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교육과정에 있어 생명과학 관련 교육내용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sis of Life ScienceRelated Contents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원(Lee Sang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19권 제3호, 29~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nts on life science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analyse the current education situ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In order to count the contents on life science, al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were analyzed. All elementary school textbooks contained total 137 contents on life science,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5 major categories such as zoology(36.5%), botany(29.9%), microbiology(10.2%), environmental biology(16.8%) and biotechnology(6.6%). Among the elementary subjects, ‘Korean Language’, ‘Science’, ‘Wise Life’ and ‘Practical Arts’ contained many good contents on life science. The lower level textbooks contained more contents on zoology and botany field grade than those of the higher. Contrarily, the higher level textbooks contained more contents on microbiology, environmental biology and biotechnology than those of the lower level, since the contents on these three fields are very difficult to lower level students. The contents on life science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re properly dispersed through the whole grade. But, some contents are out of date since life science area is growing very fast. Particularly, since the Practical Arts still contains more past?oriented contents than future?oriented contents, it should contain more future?oriented contents in the next edition. Twenty?first century is the age of technology, it is mainly consisted of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Thus, the Science and Technology for Life subject, ‘Practical Arts’ needs to make considerable change to contain more future?oriented contents, in order to take up a position in the center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생활양식과 실과교육내용의 관련성 연구
- 초등학교 학생의 소비자교육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투고규정 외
- 초등 교육과정에 있어 생명과학 관련 교육내용 분석
-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Toward Technology by Semantic Differential Techniqu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United States
- 초등교원양성기관의 실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실과실습실 설비ㆍ교구 배치의 최적화 방안
-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 실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심화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교 생활기술교육 내용의 한 영역으로서 ‘마인드맵 소프트웨어’의 도입을 위한 탐색
- 초임 기술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교직적응
- 우리나라 근대 초등 교육 정책과 초등교원 양성 제도의 변천
- 초등 실과 의생활 영역에서의 환경교육이 아동의 의생활 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생들의 합리적인 용돈 활용을 위한 웹기반 컨텐츠 개발 및 적용 효과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논문의 분석과 종합
- 초등실과 「재봉틀로 용품 만들기」단원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