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Japanese Language Learning on Viewpoint of Japan - Based on Comparison betweenthe High Schoolers’ of Kongju and Hongseong -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나정희(Lah Jeong Hee) 윤용혁(Yoon Yong Hyuk)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5집, 177~20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이 학생들의 일본관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아울러 이를 역사적 성격이 다소 차이가 있는 홍성지역의 결과와 대비하여 지역간 편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의 일본문화에 대한 태도는 학습자, 비학습자를 막론하고 건전하고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독도문제 등 한일간의 현안에 대하여 학습자와 비학습자 간 차이는 별로 두드러지지 않는다. 천왕방한에 대한 거부감이 공히 30-40%에 이르고 있는 점도 유의 된다.
국가적 관계로서의 일본관이 경직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개인적 관계로서의 일본인에 대한 태도는 매우 유화적이다. 이것은 학습자와 비학습자 간 차이가 많으며, 학습자의 경우가 보다 적극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지역간 비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는 공주 지역이 홍성보다 다소 유화적 일본관이 엿보인다. 그러나 그 격차는 예상보다 크지 않다. 이것은 지역간 역사적 배경의 차이가 학생들의 일본 인식에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중요 변수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e conclusions I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earning Japanese tended to accumulate knowledge of Japan or Japanese culture. In this point, it is required to pay attention to the cultural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learning Japanese.
2. The students’ attitudes to Japanese culture were good and critical regardless the matter whether they were learning Japanese or not. Regarding Japanese culture, however, the students not learning Japanese regarded Japanese science-technology highly while the students learning Japanese regarded the kindness of Japanese people highly.
3. The responses to the current issues between Korea and Japan including the issue of Dokdo and etc did not show any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learners and not-learners. It seemed that the Japanese learners looked more acceptable on such issues as Japanese King’s visit to Korea and etc but their acceptance was not remarkably different from that of not-learners. Both groups tended in common to show senses of tension and alertness to international relation with Japan.
4.Their attitudes were very gentle to Japanese people as personal relationship while they showed tensional viewpoint of Japan as national relation. These attitudes are largely different between learners and not-learners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learners were more aggressive.
5. The students in Kongju area seemed to have gentler viewpoint of Japan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Hongseong in the whole. The difference of such viewpoint was, however, not bigger than expected. This result is translated into the meaning that the difference of historical background between local areas influences the students’ thoughts of Japan but does not play an important variable.
As a result, the analysis results set forth above may imply the point that the biggest factor to influence the students’ viewpoint of Japan is their teachers’ influence on th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공주와 홍성의 지역적 성격과 제2외국어 교육
Ⅲ. 일본어 학습과 일본 인식의 상관성
Ⅳ. 공주와 홍성지역의 일본인식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학교 교육환경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변천과정과 개정방향 탐색
-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 고교생의 일본관과 지역적 상관성에 대한 연구
- 특성화고 및 전문대학 연계 직업교육 모형 연구
- ‘Think-aloud’ Techniques used in Metacognition to Enhance Self-regulated Learning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실질적 권위와 그 정당화 논의
- 소규모 중학교에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적용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 중년 여교사의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아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