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이용수  386

영문명
The analysis on motivation and social outcome of learning depending on the level of participation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최운실(Choi Un shil) 박새봄(Park Sae bom) 임형균(Lim Hyung gyun) 노희숙(Roh Hee suk)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25집, 161~17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 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에 대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참여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을 학습지향, 목표지향, 활동지향 등 3가지 유형으로, 학습의 사회적 성과는 건강(self-rated health status), 정치적 관심(interest in politics), 사회적 신뢰(social trust)의 3가지 차원으로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도시 Y 평생학습도시에 거주하는 1,312명의 20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라 ‘평생학습 파이오니아 집단’을 명명하였다. 둘째, 성별, 연령, 최종학력에 의해 평생학습 파이오니아 집단이 영향을 받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평생학습 파이오니아 집단이 일반 학습자 집단보다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가 활동지향적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평생학습 파이오니아 집단이 일반 학습자 집단보다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tivation to study and the social perception on the achievements of the study following the enthusiasm of an adult to take part in lifelong study. To fulfill the aim, the motivations of the lifelong study participant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academic-oriented, goal-oriented, and action-oriented; whereas the study’s social achievements were developed into 3 types of measurement tools, self-rated health status, interest in politics, and social trust. Lastly, this study conducted this research with 1,312 adults above 20 years old who live in lifelong learning city 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according to the level of enthusiasm to take part in lifelong learning, a ‘lifelong learning pioneer group’ was named; second, it was empirically identified that the learning pioneer group was influenced by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third, it was empirically proven that the motivation to learn among learning pioneer group members were more action-oriented than normal study groups; fourth, it was empirically shown that the learning pioneer group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social achievments than normal study group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운실(Choi Un shil),박새봄(Park Sae bom),임형균(Lim Hyung gyun),노희숙(Roh Hee suk). (2011).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교육연구, 25 (1), 161-176

MLA

최운실(Choi Un shil),박새봄(Park Sae bom),임형균(Lim Hyung gyun),노희숙(Roh Hee suk).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교육연구, 25.1(2011): 161-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