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ual Authority of Teacher and Its Justification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병승(Byung Seo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5집,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직위상의 권위와 더불어 실질적인 권위를 가져야 한다는 점을 전제한 후 실질적인 권위의 의미, 종류를 밝히고, 이러한 권위의 사용방법과 정당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사가 권위를 사용하면서도 권위주의의 유혹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권위와 관련된 통제방법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있어야 하며, 권위를 잠정적인 것으로 다루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권위의 역설 즉 권위 사용의 가장 큰 목적은 권위의 소멸이라는 의미에서 학습자를 개방적이고 겸손한 태도로 대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교사는 자신의 권위행사에 대한 합당한 이유의 제시, 즉 정당화 작업에도 소홀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왜냐하면 정당화 작업은 교사 본인이 권위의 남용과 오용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해 주는 합리적 논의의 장치이며, 학습자의 내적 승인과 자발적인 복종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modes of actual authority as the quality of good teacher and then to suggest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school teachers teaching in our school society.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Firstly, researcher tried to find essential meaning and importance of actual authority of teacher. Especially, I classified actual authority as two modes: intellectual authority and control authority. And then I again classified intellectual authority as authority of subject, authority of teaching method, authority of educational aim, and also control authority as directive authority. And I discussed some meanings and importance of having those authority.
Secondly, researcher emphasized that ability of right uses and justifications of actual authority are important qualities or possibilities of good teacher. As researchers stressed, it is important to use the authority with rational and democratic procedures. And teachers must understand tentative quality of authority, and more must justify his authority based on rational reasons, especially in the dimensions of intellectual inequality, desirable model of action, development of autonomy.
Thirdly, researcher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rom ahead discussions about actual authority. I stressed that ultimate aim of use of authority by teacher is to eliminate authority. For final aim of teaching is to help students to live autonomously without some control and sanctions by teacher.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right using and its justification of actual authority of school teacher will be more important issues in our changing school society.
목차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사의 실질적 권위
Ⅲ. 실질적 권위의 사용과 정당화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학교 교육환경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변천과정과 개정방향 탐색
-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 고교생의 일본관과 지역적 상관성에 대한 연구
- 특성화고 및 전문대학 연계 직업교육 모형 연구
- ‘Think-aloud’ Techniques used in Metacognition to Enhance Self-regulated Learning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실질적 권위와 그 정당화 논의
- 소규모 중학교에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적용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 중년 여교사의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아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