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Adaptability to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양정은(Yang Jung Eun) 박정환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5집,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저소득가정 중학생에게 적용했을 때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후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사후 학교생활적응이 향상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 중에 연구자의 관찰내용과 프로그램 소감문을 분석하여 볼 때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in middle schools works in that it develops their self-esteem and helps to adapt them to schoo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lf-esteem of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had been improved than control group that didn’t.
Seco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of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had been improved than control group.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er’s observation, and students’ writings about the impression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improvement of students’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conclusion,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elf-growth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학교 교육환경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변천과정과 개정방향 탐색
-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 고교생의 일본관과 지역적 상관성에 대한 연구
- 특성화고 및 전문대학 연계 직업교육 모형 연구
- ‘Think-aloud’ Techniques used in Metacognition to Enhance Self-regulated Learning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실질적 권위와 그 정당화 논의
- 소규모 중학교에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적용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 중년 여교사의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아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