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vised curriculum 2009” according to the applicable curriculum designers and teachers’ role as executor Navigation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은종(Park Eun J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25집, 19~4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 세계화ㆍ정보화 사회이다. 세계화 시대인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 속에서 사회적 사상(事象)과 사회적 상황이 발생한다. 모름지기 이와 같은 사회 변화를 이끄는 추동력이자 견인차는 곧 교육이다. 인간의 바람직한 변화를 지향하는 교육은 교육과정(curriculum)으로 학교 현장에서 구현된다. 즉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의 다양화된 자율적ㆍ창의적인 교육 설계도이자 이정표이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여러 차례의 교육과정 제ㆍ개정이 있었다. 2011학년도부터 전국의 초ㆍ중ㆍ고교에 연차적으로 전면 도입, 적용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등 두 영역으로 편성되어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단위 학교와 개별 교사 수준의 천차만별식 교육과정 설계(편성)ㆍ실행(운영)을 지향하고 있다. 단위 학교와 교사에 따라 자율적이고 다양한 교육과정, 창의적인 교육과정 설계(편성)ㆍ실행(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일선 학교에서 착근하고 바람직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이런 학교 교사(교원)들의 역할 제고가 필수적이다.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자질과 소양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학급, 교과의 교육과정을 자율적이고, 창의적이며 다양하게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결국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자율적 교육과정, 창의적 교육과정, 다양화된 교육과정으로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이를 직접 맡고 있는 일선 학교 교사(교원)들의 교육과정 자율화ㆍ다양화ㆍ창의성 담보에 대한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이 선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Modern society is knowledge-based society,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is a society. In modern society, the globalization era, living in a variety of human social history, and the social situation occurs.
By definition, such a driving force for driving social change and the driving force is the right education. Desirable change in human-oriented education and training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the schools. That is a unit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diverse voluntary and innovative education plan is a milestone.
Country several times during the course of the Chapter and was revised. From 2011 to the natio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annual introduction of the front, the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2009 experience of the curriculum and creative activities have been organized into two zones, etc. ‘Revised curriculum 2009’ level of the individual schools and individual teachers vary widely Meals curriculum design (organizing) and run (run) is oriented. Schools and teachers are autonomous units, depending on the variety of courses, creative curriculum design (programming) and run (run) has been highlighted.
‘Revised curriculum 2009’ Roots drop in schools and training courses to be run, preferably designers and implementers such as school teachers (teachers) to enhance their role is essential. Qualified teachers for curriculum and foster knowledge basis and is in charge of his class, a course of education autonomous, creative and diverse design and should lead to execution.
Finally, ‘revised curriculum 2009’ This is self-oriented courses, creative courses, diversified curriculum to fulfill the mission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it yourself (teachers) in their education and creativity, autonomy, equity and diversity for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should be prece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목적
Ⅲ. 교육과정과 설계ㆍ실행에서의 교원의 소임
Ⅳ.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배경
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Ⅵ.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중점
Ⅶ. 「2009 개정 교육과정」실현과 교원의 역할
Ⅷ.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Ⅸ.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도르프학교 교육환경계획을 위한 기초 연구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변천과정과 개정방향 탐색
- 성인의 학습참여 열의 수준에 따른 학습동기 및 학습의 사회적 성과 인식 분석
- 고교생의 일본관과 지역적 상관성에 대한 연구
- 특성화고 및 전문대학 연계 직업교육 모형 연구
- ‘Think-aloud’ Techniques used in Metacognition to Enhance Self-regulated Learning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저소득가정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교사의 실질적 권위와 그 정당화 논의
- 소규모 중학교에서 수준별 이동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간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적용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자ㆍ실행자로서의 교원의 역할 탐색
- 중년 여교사의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아성찰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