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ask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he age of local autonomy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Kwan Jung Yun(尹寬重)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22권, 159~1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is an effective system that insures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spire participation of community through th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al policies appropriate to the local situ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utonomy should be improved on the basis of professionalism.
The members of local school boards of education should have sufficient knowledge and appreciation about education.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offices is composed of professional service personnels and non - professional service personnels. And now the former is less than the latter. Because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erves essentially for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activity as a means and assistance, the personnels should become more professionalized.
The implemention areas of educational autonomy should be extended to basic units to achieve the basic purpose of local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The central education authority should only have function of planning, coordination, and policy development while the local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have the functions of organizing, evaluation, and execut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decentralize power and authority into lower-level administrative offices or schools, and should restore the supportive functio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organization should raise the responsiveness to the clients such as students, teachers, parents, communities, etc.
목차
Abstact
1. 緖論
2. 敎育行政에서의 自律性 保障
3. 敎育行政에서의 專門性 維持
4. 地方敎育行政自治의 方向
5.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아노 교육이 어린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 地方自治時代의 敎育行政의 課題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수준별 교육과정운영에 관한 연구
- 중학교 함수단원 구성의 학습지도 프로그램 구조화
- 가족가치관과 가족자원관리의 관계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영동지방 강설량의 경년변화 특성 및 북태평양 SST와의 관계
- 과학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web 기반 수업 자료의 개발
- 국내 토양오염 및 광주광역시 토양오염의 통합적인 정량화에 따른 중금속의 변화
- More die of heartbreak 읽기
-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중학생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물 특성과 층서
- 한국 민주주의의 성장연구
- 정신지체아를 위한 음악치료 방법 연구
-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유형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여중생의 교복 디자인 만족도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