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물 특성과 층서

이용수  20

영문명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ratigraphy of Kyunggi tidal-flat deposit, western coast of Korea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조주환(Ju Whan Cho) 김영성(Young Sung Kim) 임동일(Dhong Il Lim)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현장연구』교과교육연구 22권, 345~35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기만 반월 조간대 퇴적분지의 퇴적 층서를 밝히기 위해 2지점에서 평균 20m에 달하는 심부시추를 실시하였다. 시추된 퇴적물은 퇴적환경과 경계면의 특성에 의해 크게 2개의 퇴적단위 UnitⅠ과 UnitⅡ로 구분된다. UnitⅠ은 5-10m의 두꺼운 니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현세 해침기간동안 점이적인 해수면 상승과 힘께 형성된 현세 니질 조간대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기반암을 부정합적으로 피복하고 있는 퇴적단위 UnitⅡ는 두께가 최대 10m에 달하며, 조립의 자갈과 모래로 구성된다. 조립의 사질 퇴적물은 동해의 사구에 비하여 원마도가 낮고, 서해의 대륙붕 퇴적물보다는 높은 원마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은 UnitⅡ 퇴적물이 다소 강한 유수 작용에 의한 하천 퇴적물임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생물 파편의 부재, 역사질의 조립한 퇴적물 조직, 쇄설성 입자의 형태 특성 그리고 층서 위치 등을 고려할 때 퇴적단위 UnitⅡ는 현세 해침이전 최대빙하기(LGM)동안 퇴적된 육성의 하천 퇴적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o elucidate the stratigraphy of Banweol tidal-flat deposits, Kyunggi Bay, western coast of Korea, two boreholes, up to 20 m in thickness, were taken using a well-utilized deep-drilling equipment. On the basis of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erosional boundary, these deep-drilled borehole sediments can be divided into two sedimentary units (UnitⅠ and UnitⅡ). UnitⅠ reaches up to 10 m in thickness and consists mainly of mud and silt sediments with mean grain size of 7-9 phi. This unit is interpreted as a typical intertidal-flat deposition accumulated during mid-to-late Holocene sea-level rise. Beneath the Holocene tidal-flat mud (UnitⅠ) are very coarse-grained sandy sediments (UnitⅡ) with approximately 10 m thick. Roundness in UnitⅡ sediments is lower than those of beach sediments in eastern coast of Korea, while higher than those of relict shelf sediments. Considering the texture, grain shape, stratigraphic position, and absence of biogenic materials, UnitⅡ might be accumulated under the active hydrodynamic condition of the fluvial environment during sea-level lowstand, possibly last glacial maximum (LGM).

목차

요약
Abst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주환(Ju Whan Cho),김영성(Young Sung Kim),임동일(Dhong Il Lim). (2001).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물 특성과 층서. 미래교육현장연구, 22 , 345-359

MLA

조주환(Ju Whan Cho),김영성(Young Sung Kim),임동일(Dhong Il Lim).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물 특성과 층서." 미래교육현장연구, 22.(2001): 345-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