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10년대 매일신보의 쇄신과 보급망 확장
이용수 268
- 영문명
- Renovation of Maeilshinbo and Expansion of its Distribution Network in the 1910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장신(Jang, Shin) 임동근(Yim, Dongkun)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0집, 317~35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책 홍보 수단, 조선총독부 기관지로서 매일신보의 역할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매일신보의 발행 부수와
보급망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특히 1912년 매일신보의 지면 쇄신 배경과 그 결과를 다루었다. 총독부의 전폭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혁신 이전 매일신보는 독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항일’에서 ‘친일’로의 논지 변화가 결정적이었다. 1911년
10월 조선신문의 한글판 발행은 매일신보의 위기를 가중시켰다. 조선신문은 전국지를 표방하였고, 경성일보에 이은 제2의 신문이었다. 조선신문은 안정된 지국망을 바탕으로 가격과 편집,기사량 등에서 매일신보를 능가하였다. 매일신보는 국한문판과 한글판을 통합하고 활자도 바꾸었다. 읽을 거리를 보강하고 사회면의 비판기사를 강화했다. 이런 지면의 개혁과 함
께 분매소와 지국 등의 보급망을 적극적으로 확장하였다.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도 독자를 신문구독으로 이끌었다. 그 결과 1914년 말에 매일신보의 발행부수는 2만부에 육박했다. 1916년 4월엔 조선신문 한글판이 폐간하였다. 이제 매일신보는 유일한 전국적 한글신문이었다. 총독부는 1914년에 군을 통폐합하고 면제를 강화하는 지방행정제도 개편을 단행했다. 총독부의 정책을 알리려고 헌병경찰이 직접 나서던 관행이 비로소 사라졌다. 아울러 2만부 발행으로 총독부의 기관지로서 매일신보는 비로소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esses the role of the Maeilshinbo as a publicity medium for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o this end, we tracked the circulation of the Maeilshinbo and the changes in its distribution network.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motivations behind the 1912 design update and its results. Despite the full support of the “Governor-General,” before its renovation, the Maeilshinbo’s readership was decreasing. Its shift from an anti-Japanese to a pro-Japanese orientation was a crucial factor, and the publication of the Korean edition of the Chosonshinmun in October 1911 added to the crisis. The Chosonshinmun was launched as a national newspaper and became the second newspaper after the Kyeongseongilbo. With its stable distribution network, the Chosonshinmun outperformed the Maeilshinbo in terms of price, zoning, number of editions, volume of articles, etc. To overcome this situation, in 1912, the Maeilshinbo integrated the two Korean editions that were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wrote them in Hangul only. More interesting and critical articles were also added to the Society section. With this renovation, the Maeilshinbo expanded its distribution network actively. The outbreak of World War I certainly increased the number of newspaper readers. As a result, by the end of 1914, the Maeilshinbo was printing nearly 20,000 copies a day. That same year, the Governor General reorganized the local administration to reduce the number of gun an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myeon. The MP Police no longer needed to be at the forefront of government policy announcements. This became the role of the Maeilshinbo, which had a distribution of 20,000 copies. In April 1916, the closure of the Chosonshinmun made the Maeilshinbo the only nationwide Korean newspaper.
목차
머리말
1. 조선신문의 한글판 창간
2. 매일신보의 폐간 위기와 지면 쇄신
3. 매일신보의 보급망 변화와 지방행정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위원
- 연구원 소식 (2017년 7월~9월)
- 『경세유표』를 통해서 본 복지국가의 전통
- 『東方學志』 편집규정
- 한말 ‘동양’ ․ ‘아시아’ 담론과 ‘민족’의 발견
- 1920년대 이후 용정 주재 캐나다 선교사들의 활동과 문재린 목사
- 경계를 넘나드는 한인공동체와 동아시아의 평화
- 통감부 시기 인천의 시구개정사업과 시가지 행정
- 송몽규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 월남 지식인의 정체성: 정치사회변동과 자기 결정성
-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 1910년대 매일신보의 쇄신과 보급망 확장
- 이산 1세대 월남민 연구의 기획과 의의
- - 특집 취지문 - 『경세유표』의 역사성과 현재적 의미
- 근대 전환기 다산 저술의 출판과 승인
- 李鈺의 觀物論的 사유와 花潭學
- 한국전쟁기 황해도민의 서해안 피난과 전후 전라남도 정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