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특집 취지문 - 『경세유표』의 역사성과 현재적 의미
이용수 53
- 영문명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황금중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80집, 1~1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올해는 다산 정약용의 대표적인 저작 중의 하나인 경세유표(經世遺表)가 저술된지 200주년 되는 해이다. 다산은 56세를 맞은 1817년에 방례초본(邦禮草本)의 이름으로 나라의 법제 개혁에 관한 자신의 입장을 정리했고, 이는 후에 임금에게 올려 지기를 바라는 유언으로 저술된 정책건의서라는 뜻을 지닌 경세유표로 책명을 바꾸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집위원
- 연구원 소식 (2017년 7월~9월)
- 『경세유표』를 통해서 본 복지국가의 전통
- 『東方學志』 편집규정
- 한말 ‘동양’ ․ ‘아시아’ 담론과 ‘민족’의 발견
- 1920년대 이후 용정 주재 캐나다 선교사들의 활동과 문재린 목사
- 경계를 넘나드는 한인공동체와 동아시아의 평화
- 통감부 시기 인천의 시구개정사업과 시가지 행정
- 송몽규의 민족의식 형성과 기독교
-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 월남 지식인의 정체성: 정치사회변동과 자기 결정성
- 해방~한국전쟁기 인천 지역 월남민의 정착과 네트워크 형성
- 1910년대 매일신보의 쇄신과 보급망 확장
- 이산 1세대 월남민 연구의 기획과 의의
- - 특집 취지문 - 『경세유표』의 역사성과 현재적 의미
- 근대 전환기 다산 저술의 출판과 승인
- 李鈺의 觀物論的 사유와 花潭學
- 한국전쟁기 황해도민의 서해안 피난과 전후 전라남도 정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