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이용수 0
- 영문명
- A Case of Bilateral Orbital Tuberculosi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안현민(Hyun Min Ahn) 기정혜(Jeong Hae Kie) 김혜영(Hye Yo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862~865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과 영역에서 결핵은 결막결절이나 포도막염 형태로 흔히 나타나며 안와의 감염은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양측 안와에 발생한 종괴에서 결핵을 진단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4세 남성이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상 당뇨와 고혈압,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력이 있었다. 양안의 교정시력은 1.0, 안압은 16 mmHg였으며, 양안에 안구돌출이 있었고, 양안 모두 하측 안와에서 종괴가 촉진되었다. 안와 컴퓨터단층촬영상, 근원추 바깥쪽에서 안구를 전체적으로 불규칙하게 둘러싸는 경계가 불명확한 종괴가 양안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국소마취하에 양안에서 종양의 절개생검을 시행하였으며 병리조직검사상 건락괴사가 동반된 만성 육아종성 염증이 관찰되어 양안 안와 결핵으로 진단하였다. 호흡기내과에 전원하여 Isonizid, Rifampin, Ethambutol 3제 요법으로 치료를 12개월간 유지하여 종괴는 완전히 소실되었으며 치료 종료 12개월 후까지 재발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양안 안와에 발생한 종괴에서 결핵을 진단하고 치료하였으며 안와 결핵은 국내에 보고된 바 없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62-865>
영문 초록
Purpose: Periocular tuberculosis is common in the form of conjunctival tuberculosis or uveitis; however, orbital tuberculosis is very rare. We report a case of tuberculosis diagnosed based on bilateral orbital masses.
Case summary: A 64-year-old male with a history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resented with diplopia. His best-corrected visual acuity was 1.0,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16 mmHg in both eyes. Bilateral proptosis was noted, and inferior orbital masses were palpated in both eyes. On orbital computed tomography, irregular masses were surrounding both globes in the extraconal space. Incisional biopsy of the bilateral orbital masses wa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accompanied by caseous necrosi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bilateral orbital tuberculosis and underwent triple therapy with isoniazid, rifampin, and ethambutol for 12 months. The orbital masses completely resolved, and there was no recurrence or complication through 12 months after treatment.
Conclusions: To our knowledge, bilateral orbital tuberculosis has not been reported yet. Herein, we report a case of orbital tuberculosis presenting as bilateral orbital mass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62-865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