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이용수  12

영문명
Incidence of Complications in Cataract Surgery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Partial Coherence Laser Interferometry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최한뉘(Han nuy Choi) 엄영섭(Young sub Eom) 강수연(Su Yeon Kang) 송종석(Jong Suk Song) 김효명(Hyo Myung Ki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804~81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수술 전 IOLMaster를 이용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를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의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예측인자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 받은 1,456명 2,107안을 술 전 IOLMaster를 이용한 안구생체계측의 가능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었다(측정가능군: 1,141명 1,746안, 측정불가능군: 315명 361안). 두 군 간에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발생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107안 중 361안(17.1%)에서 IOLMaster로 안구생체계측을 할 수 없었다. 후낭하백내장(56.0%)이 IOLMaster로 안구생체계측을 할 수 없는 주된 원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흔한 원인은 전낭하백내장(12.5%)이었다.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 중후낭파열(posterior capsule rupture) 및 전낭절개의 주변부확장(radial tear)의 빈도는 측정불가능군에서 측정가능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01). 술 후 1주일까지 지속된 각막부종(corneal edema) 또한 측정불가능군(16.1%)에서 측정가능군(5.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IOLMaster를 이용하여 술 전 안구생체계측을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 발생의 예측인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술자는 IOLMaster를 이용한 안구생체계측이 불가능한 환자들을 수술하게 될 경우, 수술 중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04-810>

영문 초록

Purpose: To validate the possibility of IOLMaster measurement as a predictor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uring phacoemulsification surgery. Methods: In this study, 2,107 eyes from 1,456 patients who underwent phacoemulsification with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performing optical biometry with the IOLMaster (measurable group: 1,746 eyes from 1,141 patients, unmeasurable group: 361 eyes from 315 patients). Th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ree hundred sixty-one eyes (17.1%) could not be measured using optical biometry. Dense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 (56.0%) was the main factor resulting in failed measurements with optical biometry, followed by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12.5%). The rates of posterior capsule rupture and radial tea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measurable group than in the measurable group (p = 0.001, p < 0.001, respectively). Corneal edem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measurable group (16.1%) than in the measurable group (5.3%) at postoperative 1 week (p < 0.001). Conclusions: Possibility of optical biometry measurement can be used as a simple predictor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phacoemulsification surgery. Surgeon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patients who cannot be measured using IOLMaster.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04-810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한뉘(Han nuy Choi),엄영섭(Young sub Eom),강수연(Su Yeon Kang),송종석(Jong Suk Song),김효명(Hyo Myung Kim). (2017).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대한안과학회지, 58 (7), 804-810

MLA

최한뉘(Han nuy Choi),엄영섭(Young sub Eom),강수연(Su Yeon Kang),송종석(Jong Suk Song),김효명(Hyo Myung Kim).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대한안과학회지, 58.7(2017): 804-8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