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6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ra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on Enophthalmos Correction in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유진(Yu Jin Choi) 김지혜(Ji Hye Kim) 허현도(Hyoun Do Huh) 김성재(Seong Jae Kim) 서성욱(Seong Wook Seo)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769~77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안와하벽골절 환자에서 수술 중 안구함몰을 교정한 후 안구돌출 정도를 측정하여 수술 후 안구함몰이 교정되는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안구함몰의 교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안와하벽골절로 진단받고, 수술한 60명 6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1군은 2015년 1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수술한 30명을, 2군은 201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술한 30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구돌출 계측치는 1군은 Naugle 안구돌출계를 사용하여 수술 전, 수술 중 임플란트 삽입 전과 임플란트 삽입 후, 수술 6개월 후에 측정하였고, 2군은 Hertel 안구돌출계를 사용하여 수술 전과 수술 6개월 후에 측정하였던 수치를 비교하였다. 임플란트의 두께는 수술 전 측정한 안구돌출 정도에 따라 결정하였고 1군의 환자들 중 골절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환자들에서는 0.5 mm 정도의 과교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1군은 32.4세였고 2군은 34.3세였다. 외상에서 수술까지의 평균 시간 간격은 1군은 평균 4.2주, 2군은 평균 2.3주였다. 수술 전 양안의 안구돌출 값의 차이는 1군은 평균 -1.78 ± 0.31 mm, 2군은 -1.81 ± 0.26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36). 수술 후 6개월째 양안의 안구돌출 값의 차이는 1군은 -0.25 ± 0.78 mm, 2군은 -0.53 ± 0.46 m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34).
결론: 안와하벽골절 정복 시 안와골절의 크기와 안구돌출 계측치가 임플란트의 크기와 두께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 지표에 더하여 수술 중 임플란트 삽입 전후 안구돌출 정도를 측정하여 안구함몰을 교정하는 것이 안와골절의 정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69-775>
영문 초록
Purpose: To measure the enophthalmos corrective effect after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we compared preoperative and intra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with post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April 2016, 60 eyes of 6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inferior orbital wall fracture were included. In Group 1, the exophthalmometric value was measured before surgery, during the operation, and 6 months after surgery using the Naugle exophthalmometer. In Group 2, the value was measured before surgery and 6 months after surgery using the Hertel exophthalmometer. The thickness of implants was determined by pre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and overcorrection of 0.5 mm was performed in Group 1 patients with relatively large fractur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2.4 years in Group 1 and 34.3 years in Group 2. The mean duration between injury and surgery was 4.2 weeks in Group 1 and 2.3 weeks in Group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in Group 1 (-1.78 ± 0.31 mm) and Group 2 (-1.81 ± 0.26 mm), but postoperative exophthalmometric values between Group 1 (-0.25 ± 0.78 mm) and Group 2 (-0.53 ± 0.46 mm)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34).
Conclusions: The exophthalmometric values and wall fracture size are important factors for determining implant thickness of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Intraoperative measurement of exophthalmometric values should be considered in inferio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for enophthalmos corre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69-775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