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이용수 71
- 영문명
- Correlation Analysis of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래영(Rae Young Kim) 나경선(Kyung Sun Na) 박율리(Yu Li Park) 김현승(Hyun Se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788~79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LipiView IIⓇ 간섭계(LipiViewⓇ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earScienceⓇ, Morrisville, 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눈물지질층 두께(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tear film LLT)를 임상적으로 이용되는 안구 표면 질환의 지표들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을 진단받은 환자 49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안구표면질환지표(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설문조사를 받았다. 세극등 현미경 검사, 눈물막 파괴 시간(tear film break-up time, tBUT) 측정, 쉬르머 검사(Schirmer test), 각막 및 결막 형광 염색, 마이봄샘기능부전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LipiView IIⓇ 간섭계를 통한 눈물 지질층 두께, 동적 투과조명 마이봄샘 촬영 및 눈 깜박임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측값을 보정하기 위해 다중대체 방법을 사용하여 4개의 결측값 대체 모델을 만들어 Pearson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눈물 지질층 두께에 따라 환자들을 두 군으로 구분(LLT <60 nm, LLT ≥60nm)하여 카이제곱 교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안구 표면 질환의 지표 중 눈물막 파괴 시간이 눈물 지질층 두께의 평균, 최댓값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average LLT; p=0.008, 0.035, 0.006, 0.049, maximum LLT; p=0.006, 0.042, 0.020, 0.049,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multiple imputation) 최솟값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minimum LLT; p=0.048, 0.090, 0.079, 0.039). 평균 및 최대 눈물 지질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측정된 환자군(LLT <60 nm)에서는 각각 80%와 88%의 환자에서 tBUT가 10초 미만인 값을 보였고 이와 대조적으로 상대적으로 눈물 지질층 두께가 두껍게 측정된 환자군(LLT ≥60 nm)에서는 각각 39%, 47%의 환자에서 tBUT가 10초 미만으로 나타났다.
결론: 건성안 환자에서 눈물 지질층 두께의 평균 및 최댓값은 눈물막 파괴시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평균, 최대 눈물 지질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환자에서 눈물막 파괴 시간이 단축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눈물막 증발 건성안 환자에서 LipiView IIⓇ 간섭계를 이용한 평균 눈물 지질층 두께를 측정하는 것이 진단 및 경과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88-796>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nd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using a LipiView II?? (LipiView??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earScience??, Morrisville, NC, USA) interferometer.
Methods: For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dry eye syndrome were recruited for this prospective study. Patients completed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questionnaires. We performed slit lamp examination, Schirmer test, corneal and conjunctival fluorescein staining, measured tear film break-up time, and graded meibomian gland dysfunction. Tear LLT, blinking time, and dynamic meibomian imaging were analyzed using a LipiView II?? ocular interferometer. To control for missing data, we analyzed four sets of imputated data via the multiple imputation method and perform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LLT categories (LLT < 60 or LLT ≥ 60) and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Results: Among ocular surface disease parameters, tear film break-up time (tBU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verage and maximum LLT (average LLT; p = 0.008, 0.035, 0.006, 0.049, maximum LLT; p = 0.006, 0.042, 0.020, 0.049,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multiple impu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inimum LLT (minimum LLT; p = 0.048, 0.090, 0.079, 0.039). Of the patients with a relatively thick average LLT or maximum LLT (LLT ≥ 60 nm), 80% and 88% had a tBUT < 10, respectively. Conversely, 39% and 47% of patients with relatively thin average LLT (LLT < 60 nm) had a tBUT < 10 (average LLT; p = 0.013, maximum LLT; p = 0.039).
Conclusions: Average LLT and maximum LL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BUT. Patients with a relatively thin average or maximum LLT tended to have a shorter tBUT. Based on these results, measuring tear film LLT using a LipiView II?? interferometer may be useful in the diagnosis and follow-up of patients with evaporative dry eye.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88-796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