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이용수 5
- 영문명
- Efficacy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Measuring the Foveal Avascular Zone Area in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승환(Seung hwan Lee) 민정기(Jung Kee Min) 우제문(Je Moon Woo)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818~82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을 통하여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을 확인한다.
대상과 방법: 망막분지정맥폐쇄가 있었던 3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과거력, 안저검사, 형광안저혈관조영술, 빛간섭단층촬영검사,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 결과를 분석하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을 사용하여 오목무혈관부위의 면적을 중심와두께(300 μm)를 기준으로 황반부종의 유무를 구분하여 두 개의 군으로 나누고 측정된 면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형광안저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로 측정한 표층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은 황반부종의 유무와 관계없이 선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r=0.845, p=0.001), 심부층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r=0.001, p=0.996). 또한 형광안저혈관조영술과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표층에서 측정한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은 두 측정법 간에 유의한 일치를 보였지만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0.916, p=0.001), 심부층에서 면적과의 비교는 신뢰할 수 없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았다(ICC=0.001, p=0.501).
결론: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에서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은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의 2차원적인 단면에서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을 벗어나 표층과 심부층에서 오목무혈관부위를 측정할 수 있었다. 표층에서의 오목무혈관부위는 형광안저혈관조영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심부층의 오목무혈관부위는 그렇지 않았다. 하지만 심부층 오목무혈관부위는 환자의 시력저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시력예후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18-827>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by measuring the foveal avascular zone (FAZ) area in patients with branch retinal vein occlusion (BRVO).
Methods: Thirty four eyes of 34 patients with BRVO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rea of the FAZ was calculated using fluorescein angiography (FAG) and OCTA. The FAZ area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acular edema, which was determined based on the central foveal thickness (300 μm), and then the measured areas were compared.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G and the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in OCTA with or without macular edema (r = 0.845, p = 0.001). However, there was no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G and the deep capillary plexus (DCP) in OCTA (r = 0.001, p = 0.996). In addition, the FAZ area measured by FAG and OCTA in the SCP showed a significant agreement between the two method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 0.916, p= 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found for the FAZ area between FAG and OCTA in the DCP (ICC = 0.001, p = 0.501).
Conclusions: In the patients with BRVO, OCTA can be used to measure the FAZ areas in both the SCP and DCP, beyond measurement of the FAZ area at the two-dimensional cross section used during FAG. The FAZ area in the SCP via OCT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AZ area determined by FAG, but there was no such correlation in the DCP. That said, the FAZ area in the DC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decrease in visual acuity among the patients, which may be an indicator of visual prognosis.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18-827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