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이용수 0
- 영문명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ry Eye Disease after Refractive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손대용(Dae Yong Son) 황성순(Sung soon Hwang) 현 주(Joo Hyun) 임동희(Dong Hui Lim) 정의상(Eui Sang Chung) 정태영(Tae Young Ch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782~787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굴절교정술 후에 발생하는 건성안의 유병률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안과에서 굴절교정술을 시행받은 98명, 180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물막 파괴시간(tear break-up time)이 5초 미만이거나 안구표면 염색 점수(Oxford stain score)가 2점 이상인 경우를 건성안이라 정의하고, 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을 알아보았다. 술 후 건성안군과 술 후 정상안군 간의 차이를 보이는 술 전 인자(인구학적 요인, 술 전 이학적 검사, 수술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은 62.2%였다. 술 후 정상안군에 비해 술 후 건성안군에서 유의하게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p=0.016), 연령이 많았으며(p=0.001), 각막 두께가 얇았다(p=0.002).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 인자에 대하여 분석하였을 때, 술 전 건성안(odds ratio [OR]=9.02, confidence interval [CI]=3.8-21.4)이 수술 후 건성안 발생의 가장 강력한 위험인자로 나타났고, 연령의 증가(OR=1.06, CI=1.01-1.11) 또한 독립적인 수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굴절교정술 전에 건성안이 있을수록,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도가 더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성안을 동반한 고령의 환자에서 굴절교정술을 시행할 경우,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 발생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 및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782-787>
영문 초록
Purpose: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the risk factors of dry eye disease after refractive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180 eyes of 98 patients based on medical records. Those who had tear break-up time less of than 5 seconds or had an Oxford stain scale equal to or greater than 2 were defined to have dry eye disease. We analyzed the prevalence of dry eye, compared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dry eye group and normal group, and found risk factors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Results: The prevalence of postoperative dry eye was 62.2%. Compared to the normal eye group, the dry ey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women (p = 0.016), older age (p = 0.001), and thin cornea (p = 0.002).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was presence of dry eye before refractive surgery (odds ratio [OR] = 9.02, confidence interval [CI] = 3.8-21.4). Old age was also found to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OR = 1.06, CI = 1.01-1.11).
Conclusions: The risk of dry eye after refractive surgery was increased in older age and preoperative dry eye disease. In order to prevent post-refractive surgery dry eye, caution should be exercised in middle aged patients with preoperative dry eye disease.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782-787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