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이용수 20
- 영문명
- Effects of Corneal Toxicity and Conjunctival Injection of Preservative-free 0.1% Fluorometholone after Pediatric Strabismus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수연(Su Yeon Kim) 전보영(Bo Young Chu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7, 846~851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사시수술 후 점안한 플루오로메토론 0.1%의 보존제 유무에 따라 술 후 결막충혈 및 각막독성의 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 수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를 무작위 배정하여 항생제와 함께 보존제(1군) 또는 무보존제(2군) 플루오로메토론 0.1%를 하루 3번 점안하도록 하였다. 술 후 1주와 3주 결막충혈과 각막독성 정도를 Image J program으로 측정한 평균 픽셀 값과 Oxford stain score (OSS)를 평가하여 두 군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총 61명의 환자 중 1군(보존제군) 17명(34안), 2군(무보존제군) 20명(40안)이 최종적으로 포함되었다. 술 후 1주일 결막충혈 정도를 측정한 평균 픽셀 값은 1군이 31,732 ± 9,946, 2군이 38,347 ± 12,189였고, 술 후 3주에는 각각 10,150 ± 4,493, 11,836 ± 4,290 이었다. 3주 동안 감소한 결막충혈의 평균 픽셀 값은 각각 21,582 ± 8,716, 26,510 ± 11,153으로 2군의 충혈 감소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40). 술 후 3주에 측정한 OSS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설문지로 조사한 술 후 불편감의 정도는 2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01).
결론: 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을 사용하였을 때 결막충혈 감소량이 유의하게 더 많았으며 술 후 불편감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스테로이드 점안액 사용이 술 후 충혈을 감소시키고 불편감을 줄이는데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7):846-851>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are the degrees of conjunctival injection and corneal toxicity between preservative and preservative-free topical 0.1% fluorometholone after strabismus surgery.
Methods: A randomized,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grees of conjunctival injection and corneal toxicity between preservative and preservative-free topical 0.1% fluorometholone after strabismus surgery. Sixty-one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were told to apply antibiotic eye drops (ED) and either preservative or preservative-free topical 0.1% fluorometholone (F1) three times a day. Measurements of the degrees of conjunctival injection and corneal toxicity were performed at postoperative 1 week and 3 weeks each.
Results: Seventeen patients (34 eyes) were included in group 1 (preservative F1) and twenty patients (40 eyes) were included in group 2 (preservative-free F1). The average pixel value (measured via the Image J software) representing the degree of conjunctival injection was 31,732 ± 9,946 in group 1 and 38,347 ± 12,189 in group 2 at postoperative 1 week, while the average pixel value was 10,150 ± 4,493 in group 1 and 11,836 ± 4,290 in group 2 at postoperative 3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ecrease in pixel value for the two groups (p = 0.04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the Oxford stain score between the two groups at postoperative 3 weeks, however the mean questionnaire scores in group 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group 1 (p = 0.001).
Conclusions: Preservative-free 0.1% fluorometholone ED demonstrated a larger decrease in the degree of conjunctival injection than for preservative ED after strabismus surgery. Therefore, the use of preservative-free steroid ED may be beneficial for decreasing both conjunctival injection and postoperative discomfort following strabismus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7):846-851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물길우회술 후 경과관찰기간에 따른 죤스관의 균주에 대한 변화
- 익상편환자에서 생체접착제를 이용한 변형된 결막소판술의 임상결과
-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 유두테 폭과 망막신경섬유층 두께의 진단력 비교
- 성인 코우츠병에서 유리체강 내 라니비주맙주입술을 시행한 1예
- 코곁굴염이 동반된 특발안와염의 임상양상
-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수술 시간 관련 예측 인자
- 소아사시수술 후 무보존제 플루오로메토론 0.1% 점안액의 결막충혈과 각막독성에 대한 영향
- 당뇨망막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당뇨환자에서 황반부 미세혈관의 변화와 연관된 전신인자 분석
- 눈물 지질층 두께와 안구표면임상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안와하벽골절정복술에서 수술 중 측정한 안구돌출 계측치가 안구함몰의 교정에 미치는 효과
- 갑상샘기능저하증이 동반된 패리-롬버그 증후군 1예
- 합성경막을 이용한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발생한 공막융해와 동반된 튜브 짓무름
- 양측 안와종괴로 발현한 안와결핵 1예
- 피터 이상에서 전층 각막이식술 및 백내장수술로 시력이 호전된 증례
- 망막분지정맥폐쇄 환자의 오목무혈관부위 면적측정에서의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의 효용성
- 면역글로불린G4관련안질환의 진단적 기준을 만족하는 전형적인 증례 1예
- 부분결합레이저간섭계로 안구생체계측 가능 여부에 따른 백내장수술의 합병증 발생빈도
- 굴절교정술 후 건성안의 유병률 및 술 후 건성안 발생의 위험인자
-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개방각녹내장에서 선택적레이저섬유주성형술의 효용성
- 습성연령관련황반변성 환자에서 애플리버셉트 유리체내주사 후 발생한 전층황반원공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