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교육을 위한 속담의 특징 고찰
이용수 835
- 영문명
-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roverb for cul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현숙(Hyunsuk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7輯, 251~2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는 문화와 관계가 깊다. 언어가 포함하는 문화적 배경을 충분히 이해할 때 실제 생활에서 언어 속의뜻을 제대로 알 수 있다. 언어들은 대부분 그 언어가 가지고 있는 관용적인 표현들이 다양하게 있다. 그것을알아보는것이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각각의 언어 속에는 사고방식과 관점의 차이가 있고 이를 통해 문화양상과 생활방식을 알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속담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여기에 주목하여 속담을 자료로 이것이 가지고 있는 한국의 문화 요소를 소재별, 내용별로 분석함으로서 외국인을 위한 문화교육 자료로서의 속담의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자 한다.본고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2단계)’에서 선정한 속담 63개에 대하여 이기문(1979) 주제별 속담사전의 문화범주 분류를 참고하여 속담을 분류하고 각 대상 속담에 대한 문화 내용을 분석한다. 또 분석한 속담의 문화항목을 대상으로 문화교육 요소를 항목별로 위계화하여 문화교육을 위한 속담 교육 방안에 적용할수 있도록 한다.
영문 초록
Language has a close connection with culture. If one truly understandswhich culture a language includes, he or she can understand true meaningof the language in real life. Mostly, each language has its various idiomaticexpressions. Looking into them is a good way of understanding a country’sculture. Each language has its own way of thinking and different point ofview, and furthermore, cultural aspect and lifestyle can be known from it.Most representative one is ‘proverb’. The study will categorize culturalfactors of Korea into subject and meaning, and point out the value ofproverb as a cultural education material.The study categorize 63 chosen proverbs from ‘Development ofvocabulary materia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vel 2), with referenceto Culture Category of subject dictionary of proverb by Ki-Moon Lee(1979), and examine corresponding cultural aspects each proverb has. Also,the hierarchy of culture education factors of the analyzed cultural items canbe applied to education plan as well.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한국어 교육 목표와 문화교육 요소
3. 속담의 문화요소별 분류와 특징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