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절영신화>의 재담극적 속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Witty play attributes of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권대광(Daekwang Kwon)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7輯, 197~22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09년 10월 14일부터 11월 23일까지 ≪대한민보≫ 지면에 연재된 <절영신화>의 재담적 속성에 대한 연구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표제와 서술층위에 드러난 연행성에 대한 연구와 텍스트의 유희적성격을 알아보고 민속극의 측면에서 재담극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절영신화>는 서술의 연행성이나 화행의 구조, 연행자와 연행공간 등의 드라마트루기가 재담극과 일치하고 있음이 주목된다.<절영신화>는 ‘골계 소설’ 혹은 ‘소설 골계’로 기사란의 유형이 혼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단순히 <소설> 란에 쓰인 ‘골계 절영신화’로 보는 관점이 아닌 <절영신화>를 하나의 작품명으로 봤으며, 골계를 내용장르적 관점에서 파악했다. 또 당시 ‘소설’의 개념이 현대의 협의적 개념이 아니었던 점을 근거로 하였다. <절영신화>는직접제시에 의한 대사의 순행에 의해 내용이 전개되고 있었으며, 서술자의 간접적 화법이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또 이들의 대화는 긴장성의 극적 틀 안에서 전개되고 있었으며, 각 부분의 서사와 전체 서사의 틀이 변증법적인 구조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절영신화>를 당대 연희적 텍스트로 볼 수 있다.또 내용적 측면에 있어 <절영신화>는 이데올로기적 속성보다 유희적 성격이 더 짙은 텍스트다. <절영신화>에 드러난 학교나 교육, 연설회 등의 1900년대 문학의 계몽주의적 소재들은 작가의 주장이나 이념을 위해쓰이지 않았다. 이러한 점은 당대 계몽주의 담론 자체를 희화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토론체 텍스트들과는 다른 점이며, 따라서 유희성을 목적으로 한 텍스트로 보인다.<절영신화>는 유희적 텍스트로서 재담극과 가까운 관계를 갖고 있었다. <절영신화>는신문매체를활용한만큼 대중적 장르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텍스트는 오락성과 의도성을 모두 갖고 있지만 적극적인 계몽•개화 의식을 갖고 있지는 않다. 오히려 대화를 재료로 한 기지의 노출과 우스갯소리가 연행 가능한 형태로 제시되어 있다는 데서 당대 재담극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고 보인다. 또한 노상을 무대로 한 열려있는 공간을 텍스트의 무대로 삼고 있다는 점과 1인 혹은 2인에 의한연행이 가능하도록 텍스트가 짜인 점, 텍스트에 내포되는 풍자적 내용과 소담적 요소들에서 재담극의 드라마투르기적 요소를 <절영신화>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이러한 점들로 미뤄볼 때 <절영신화>는 유희적 성격에 기반을 둔 연행적 장르의 기술(記述) 텍스트로 보이며, ≪대한민보≫라는 신문지면을 통해 이전부터 전래되던 재담극이 갖고 있는 해학적 전통과 대중성을 토대로 성립된 텍스트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is a study on Witticism facts of published in≪Daehanminbo≫, 1909.10.14. to 11.23. For this study, researched Headingsand Theatralitat s of object text. And also intended to explain relationshipwith Korean old witty plays.The Heading of mingled ‘Golgye novel’ with ‘Novelgolgye’. So is an individual title of text but not‘. And Golgye indicates the genre attributes. Italso besed on the fact that novel[soseol] was not recognized as a temporarymeaning of that. developed by exchanging talking withtwo characters. There was scarcely indirect narration, and generally directnarration. Their talking progressed in theatrical tension. Each parts ofnarrative and whole text have dialectic frames. these tell as an drama of those days. In aspect of substance, istheatrical rather than ideological. Schools, Education and oratorical meetingswhich was common materials of 1900’s Enlightment literature were not usedfor writer’s opinions or doctrines.And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Witty plays in thosedays. There was necessity to provide popular forms as a daily installment onthe Newspaper. So has both entertainingness and morality, rather aggressive enlightenmental awareness. has a form of playable text containing puns and jokes and witty talks. Itinforms us is on the base of Korean old witty play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표제와 서술 층위의 연행성
3. 유희성에 배경화된 계몽성
4. 재담극과의 친연성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