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팩션으로 읽는 이항복의 일생- 구활자본 「鰲城과 漢陰」을 통하여
이용수 113
- 영문명
- A Lifetime of Lee Hang-bok composed as Faction - Through Osung Gwa Hanum with Ancient Printed Book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차충환(Chunghwan Cha)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第87輯, 165~19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그동안학계에 소개된 바 없는구활자본「오성과한음」의 실상을밝히고, 그것이 ‘팩션으로읽는 이항복의일생’을 잘구현한작품임을고찰하였다. 이 작품은비록 ‘오성과 한음’을제명으로삼고 있지만, 이덕형의 이야기는 부수적이고 주된 내용은 이항복의 이야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 작품은 洪學究와 韓村翁이란가공의두구술자가교대로이항복과관련된이야기를구술하고, 그것을이야기판의 주인인 ‘나’가기록하는형태로구성되어있다. 그중에서 홍학구는 주로 이항복의 典故를중심으로구술하고한촌옹은이항복 관련 설화를 중심으로 구술한다. 이러한 방식은이 작품의 작가가 내용의현장감과흥미를제고하기 위해 고안한것으로보인다. 이 작품은 이항복의 탄생부터 죽음까지 전 생애를 다루고 있다. 생애를 구성하기 위해 작가는 백사집,남계집, 지봉유설, 실록, 정무록 등 방대한 문헌자료와 어우야담, 동패락송 등의 각종 문헌설화집, 그리고 주요구비설화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비범성, 해학과 골계, 담대함과 관대함, 지모와 충정, 정세판단능력과 상황대처능력, 신묘한 예견력 등 이항복의 다양한 인간상을 총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작품을통해 ‘인간 이항복’의총체적 면모를확인할 수있다. 그런데이 작품은 이항복의 전모를마치 설명문이나 연보처럼단순히 설명적, 평면적, 연대기적으로 나열한데 그친것이 아니라, 시점의다양화, 인물간의대화, 장면전개 등 다양한 서사문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구성했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로써 본 작품은 독자들에게 사실 확인 차원이 아니라 극적인 흥미를 제공하는 한 편의 이야기 혹은 작품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또한역사적 인물 ‘이항복’에 의해 탄생한 각종의 사실과 허구를 융합하여 한 편의 작품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팩션’으로서의 가치를 온전히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Osung Gwa Hanum was made ancient printedbook. This work was not introduced on the academic world. Osung is penname of Lee Hang-bok, Hanum is pen name of Lee Duk-hyung. I find realfacts of Osung Gwa Hanum. Through it, I find that Osung Gwa Hanumembodied Lee Hang-bok’s lifetime. And the lifetime was composed withfaction. This work was composed with dictation of Hong Hak-gu and HanChon-ong. And owner of talk plate record the dictations. Among it, HongHak-gu based on historical facts of Lee Hang-bok, Han Chon-ong based onfolk story of Lee Hang-bok. This method was designed to promote interestof story. This work deal with whole lifetime of Lee Hang-bok.Writer made use document materials of Baeksajip, Namgyejip,Baekhojunseo, Jibongyusul, King Sunjo True Record, King Sunjo TrueRecord was Amended, Jungmuroketc to compose of lifetime. Besides,writer made use document tale books like to Eouyadam, Dongpaeraksongetc. And chief folklores made use importantly. In this way, writer exposedhuman nature of Lee Hang-bok like to extraordinariness, joke, satire, greatcourage, liberality, ingenuity and patriotism, ability of circumstantialjudgment and crisis correspondence, wondrous prediction ability etc.According to it, We have seen whole human nature of ‘human Lee Hang-bok’. By the way, Writer not compose of two dimensionalrepresentation like to a chronological record but compose of stereoscopiccomposition like to novel and drama. In order to that, writer did narrativeorigin materials. And writer made origin materials as scene. In this way,this work offer dramatic interest to readers. And this work have featureand value as faction because of composition of fact and fictio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작품 내외적 표지와 구성방식
3. 내용의 전개양상과 출처
4. 기존 자료와의 관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