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한 소고
이용수 1,431
- 영문명
- The Current State, the Future Direction, and Future Tasks of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진호(Kim, Jinho H)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2권 제2호, 7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사적 탐색을 통하여 교육실천학의 한 분야인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과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첫째로는 현재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은 다양한 장애유형과 그와 관련된 독특한 학문 영역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전반적이면서도 이해 하기 쉽게 대학의 관련학과와 학술단체의 현황, 특수교육 기관과 교육 대상자에 따른 현황, 특수교육의 학문 내용에 따른 현황을 제시하였다. 둘째로는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을 바탕으로 특수교육 연구과 교육 적용과 관련되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향후 전망과 과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특수교육 현장에서 제기되는 개별화교육과 통합교육의 접목, 성인생활 준비를 위한 기능적 교육으로써의 전환교육과 직업 교육의 효과적 실행, 사후중재 패러다임의 특수교육에서 예방적 특수교육으로써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교육실천학의 학문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특수교육과 관련 학문의 오늘과 내일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of the special education field in South Korea.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arts. First, current trends and research effort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current status of special education system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An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f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disabilities, core education domains, and life span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future direction and tasks were suggested as challenging issues of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were the integration of personalized education practices and inclusion education, transition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outcomes, and the shift of special education paradigm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특수교육의 학문적 현황
Ⅲ. 특수교육의 향후 전망과 과제
Ⅳ.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