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rrent conditions and needs of parent education in consignment workplace child-care centers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은영(Lee, Eun-Young)
- 간행물 정보
- 『특수·영재교육저널』제2권 제2호, 99~1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민간위탁체에 의해 운영 중인 직장어린이집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5곳의 직장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처리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유목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면, 응답 자의 약 90%에 해당하는 직장어린이집에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주로 부모의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기 혹은 등하원시 면담이나 가정통신문, 홈페이지 등의 순으로 많이 실시되고, 이에 대한 부모의 참여율도 유사한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부모 들은 수업참관이나 강연회의 형태와 부모-자녀 간 효율적인 의사소통, 어린이집과 가정 간 연계활동 등의 내용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 증진을 위해 사업장의 이해와 협조나 근무여건을 고려한 계획 및 운영의 순으로 요구하고 있었으며, 직장어린이집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요구로는 부모-자녀 간 관계형성 지원이나 사업장과의 협력 및 연계활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and parents' needs of parent education in the child-care centers consigned by specialized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01 parents having a child or children at workplace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is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t about 95% child-care centers and many of these programs were administrated considering parents' working time. And type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which was operated and parents participated frequently were formal or informal parent meeting, newsletter, on-line site and so on. Second, parents preferred parent education program in a way of observing activities, lectures, etc. And most parents wanted to learn an effec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skills. They thought that workers'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and planning and operating of program based on parents' work conditions are required for encouraging parents' participations.
They needed to support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care center-workplace connected activities for more effective parent education program administration in workplace child-care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연쇄적 베이지안 추론을 적용한 학습전략 사용 및 효과 판단의 착각현상 분석
- 중국인 유학생 대상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K대학교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 일상 속 인성덕목을 반영한 유아인성교육 실천방안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