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이용수 21
- 영문명
- A Case of Polyarteritis Nodosa with Decreased Vision as a First Symptom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창주(Chang Zoo Kim) 남기엽(Ki Yup Nam) 이상준(Sang Joon Lee) 이승욱(Seung Uk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979~198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결절다발동맥염은 눈 조직을 포함하여 몸 전체의 중간, 작은 크기의 동맥에 이환되는 괴사성 혈관염이다. 저자들은 결절다발동맥염을 진단 받기 전 선행한 환자의 일측성 중심망막동맥 폐쇄를 경험하였고 이는 눈 증상이 선행된 비전형적인 결절다발동맥염의 증례로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8세 남자 환자가 갑작스런 우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안과에 내원하였다. 현성굴절 검사를 통한 최대교정시력 우안 0.05, 좌안 1.0으로 확인되었으며, 고혈압, 당뇨 등의 전신기저 질환은 없는 상태로 10일 전 갑자기 발생한 우안의 시력저하와 간헐적으로 나타난 우측 편두통을 호소하였다. 대광반사에서 우안에 상대적 구심성 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검사상 우안의 시신경유두 및 황반주변으로 안저의 전반적인 부종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형광안저촬영 후 우안의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진단 받았고 이후 임상소견과 검사실 결과, 영상검사를 근거로 결절다발동맥염 진단하에 면역억제치료를 시작하였다. 1개월 후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05로 확인되었다.
결론: 결절다발동맥염 환자에서 중심망막동맥폐쇄로 인한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안과에 내원하는 경우 관련 문진과 실험실 검사를 추가하여 빨리 진단 후 전신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추가적인 다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Polyarteritis nodosa (PAN) is the necrotic vasculitis affecting middle and small-sized arteries throughout the body including ocular tissue. We report an atypical PAN case of unilateral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in which the ocular involvement occurred before systemic symptoms.
Case summary: A 58-year-old male visited the ophthalmology department due to abruptly decreas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0.05 (in the right eye) and 1.0 (in the left eye) basedon the Snellen chart. He complained of acute decreased vision occurring ten days prior and intermittent migraine on the right side with no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or diabetes mellitus.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 was observed in the right eye. Generalized edema was found around the optic disc and fovea on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CRAO) based on a fluorescein angiography. Subsequently, PAN was diagnosed based on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test results and imaging studies. The treatment was started with an immunosuppressive agent. One month later, the BCVA was 0.05 based on the Snellen chart.
Conclusions: In PAN patients, decreased vision can occur as a first symptom due to CRAO. If the patient visits the ophthalmology clinic, history taking and laboratory tests for PAN can aid i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as well as preventing additional complications of PA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