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이용수 15
- 영문명
- Results of Silicone Tube Intubation in Patients with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학준(Hak Jun Lee) 이민정(Min Joung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821~1825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하여 실리콘관삽입술을 시행 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을 시행한 93명, 136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물배출계 관류검사 및 더듬자 검사, 눈물주머니조영술의 결과에 따라 환자를 공통눈물소관 정상군(72명, 112안)과 공통눈물소관 폐쇄군(21명, 24안)으로 나누었다. 두 군 사이의 인구학적 요인과 코눈물관 탐침 시 코눈물관 저항의정도, 실리콘관삽입술의 성공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 경과관찰 시 눈물흘림증상이 호전되고, 눈물층의 높이가 감소된 것을 성공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코눈물관 탐침 시 공통눈물소관 폐쇄군에서는 24안 중 17안(70.8%), 공통눈물소관 정상군에서는 112안 중 71안(63.4%)이 중등도이상의 코눈물관 협착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39). 실리콘관삽입술의 해부학적 성공률은 공통눈물소관 정상군이 91.1%, 공통눈물소관 폐쇄군이 83.3%였고, 기능적 성공률은 공통눈물소관 정상군이 85.7%, 공통눈물 폐쇄군이 75.0%로 두 군 사이에 성공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71, p=0.161).
결론: 실리콘관삽입술이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의 폐쇄가 있는 환자에게 일차치료로 시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licone tube intubation in patients showing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in dacryocystograph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136 eyes of 93 patients who underwent silicone tube intubation and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6 mont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normal canaliculus group (112 eyes of 72 patients)and the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group (24 eyes of 21 patient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gree of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on probing, and functional and anatomical success rates of silicone tube intub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Surgery success was noted when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improved’ tearing symptom and the tear meniscus height decreased.
Results: On probing, 17 (70.8%) of 27 eyes revealed definite obstructive feeling at nasolacrimal duct in the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normal canaliculus group (p = 0.639). The anatomical success rate of silicone tube intubation was 91.1% in the normal canaliculus group and 83.3% in the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group, and the functional success rate was 85.7% in the normal canaliculus group and 75.0% in the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cess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271, p = 0.161, respectively).
Conclusions: Silicone tube intubation can be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option for management of common canalicular obstruction.
목차
1. 대상과 방법
2. 결 과
3. 고 찰
4.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