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이용수 4
- 영문명
- Efficacy and Safety of Immediate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정희(Jeong Hee Kim) 공석준(Seok Joon Kong) 김재우(Jae Woo Kim) 임태형(Tae Hyung Lim) 최기용(Ki Yong Choi) 조범진(Beom Jin Cho)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854~1859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immediate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ISBCS)의 효용성(efficacy) 및 안전성(safety)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ISBCS 및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DSBCS)를 시행받은 각 군 70명 140안의 수술 1개월 후 최대교정시력, 구면렌즈 대응치 및 굴절이상을 분석하고 같은 기간 내 본원에서 백내장 수술을 시행 받은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안내염 발생 건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1개월째 최대교정시력(logMAR)은 ISBCS군에서 0.06 ± 0.72, DSBCS군에서 0.09 ± 0.66이었으며 두 군에서 두 번째 수술한 눈의 최대 교정시력(logMAR)은 각각 0.07 ± 0.64, 0.07 ± 0.18이었다. 수술 후 최대 교정시력, 구면렌즈 대응치, 굴절이상 모두에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 21,140안에서 안내염은 10안(0.05%)에서 발생하였으며 462명, 924안의 ISBCS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ISBCS는 적절한 적응증의 환자를 선택하여 경험 많은 술자가 수술을 시행하고, 예방적 항생제를 수술 후 철저히 사용한다면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안전한 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mmediate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with respect to patient outcomes and complication rates.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ho had immediate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ISBCS) and delayed sequential bilateral cataract surgery (DSBCS) with an interval of one to two months between the first and the fellow eye operations. The changes in visual acuity, manifest spherical equivalent, and refractive error of 140 eyes of 70 patient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postoperatively at one month. The incidence of endophthalmitis was investigated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log MA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ere measured to be 0.06 ± 0.72 in the ISBCS group and 0.09 ± 0.66 in the DSBCS group, and that of the fellow eyes were 0.07 ± 0.64 and 0.07 ± 0.18, respectively (p = 0.331, p = 0.781,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s were -0.18 ± 0.23 D in the ISBCS group and -0.19 ± 0.25 D in the DSCBS group, and that of the fellow eyes were -0.15 ± 0.18 D and -0.16 ± 0.21 D,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 0.835, p = 0.676, respectively). The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 was -0.20 ± 0.21 D in the ISCBS group and -0.18 ± 0.13 D in the DSBCS group, and that of the fellow eyes were -0.14 ± 0.22 D and -0.19 ± 0.22 D, respectively (p = 0.482, p = 0.237, respectively). A total of 21,140 eyes had cataract surgery performed, and only 10 eyes (0.05%) developed endophthalmitis. Endophthalmitis did not occur in the ISBCS group.
Conclusions: In experienced hands, with stringent patient selection criteria and with a strict aseptic protocol, ISBCS can safely provide comparable visual outcome and better satisfaction of the patient with good efficac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