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이용수 57
- 영문명
-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Complaining of Visual Symptoms and Diagnosed with Migraine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고중식(Joong Sik Koh) 김성준(Seong Joo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12, 1933~193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시각 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안과에 내원 후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두통의 양상 및 안과 검진 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나이는 38.1세(12-71세)이며, 남자 9명, 여자 22명이고, 증상이 처음 시작된 평균 나이는 35.7세(12-64세)였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시각 흐림(35.5%), 암점(22.6%), 섬광(22.6%)의 순으로 나타났다. 16명(51.6%)의 환자에서 5분 이내로 시각적 증상이 사라졌으며 13명(41.9%)에서 항상 두통 이전에 시각 증상이 나타났다. 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던 17명 중 미약한 소혈관 질환이 관찰된 3명을 제외한 14명은 정상소견이었다. 사시검사상 외사시가 있던 1명을 제외하고는 안과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시각 증상이 있던 편두통 환자 대부분에서 안과적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시각 흐림, 암점, 섬광 등 다양한 시각 증상으로 안과를 내원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편두통의 조기 진단에 안과 의사의 역할이 있음을 인지해야겠다
영문 초록
Purpose: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visited Korean ophthalmology clinics complaining of visual symptoms and were diagnosed with migraine.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by evaluating the patterns of visual symptoms, timing of headaches, and results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s in 31 migraine patients who were recruited from a neuro-ophthalmology clinic.
Results: The patients consisted of 9 men and 22 women, with a mean age of 38.1 years (range, 12-71). The average age of symptom onset was 35.7 years (range, 12-64 years). The most common three visual symptoms were blurred vision (35.5%), blind spots (22.6%), and flashes of bright lights (22.6%). Visual symptoms disappeared within 5 minutes in 16 patients (51.6%) and 13 patients (41.9%) experienced visual symptoms before the onset of a headac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14 cases revealed normal results and the remaining three patients showed minimal small vessel disease. Except for one patient who had exotropia, there was no other specific abnormality observed upon ophthalmologic examinations.
Conclusions: Most of the migraine patients who first visited an ophthalmology clinic with visual symptoms had no definite ocular abnormalities. Thus, ophthalmologists must be aware that migraines could first present with various visual symptoms in order to make an early diagnosis of migrain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콩다래끼로 오인된 눈꺼풀의 파라핀종
- 한국인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안구반응분석기를 이용한 안압의 일중 변동
- 눈물주머니조영술에서 공통눈물소관 폐쇄를 보이는 환자에서 실리콘관삽입술의 효과
- 무보존제 히알루론산나트륨 점안이 각막상피세포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삽입형 인레이의 6개월 동안의 임상결과 비교
- 선천눈떨림에서 시행한 안구추적장치를 이용한 레이저 각막굴절교정수술
- 제한성 갑상선 안병증에서 리바운드 안압계와 골드만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비교
- 비외상성 비당뇨병성 유리체 출혈환자에서 유리체 절제술을 통한 원인 질환 분석
- 환자별 계획된 아래눈꺼풀성형술 후 아래눈꺼풀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 사시를 동반하지 않은 원시 및 조절내사시에서 외사시로 변화된 환자들에 대한 임상양상 고찰
- 중심망막동맥 폐쇄로 인한 갑작스런 시력저하가 첫 증상으로 나타난 결절다발동맥염
-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진단한 급성 양안성 일광망막병증
- 배양된 사람 코점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양막추출물의 효과
- 프레넬 간츠펠드 자극기의 임상적 유용성
- 회절성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백내장 수술안의 시각 및 광학 결과 비교
- 거대열공 망막박리에서 과불화탄소액을 사용한 유리체절제술 단독수술과 공막두르기 병합수술 비교
- 우세안과 시자극 주변 맥락이 양안 경합에 미치는 효과
- 콘택트렌즈 관리의 순응도에 인쇄된 안내문이 미치는 효과 분석
- 제1형(Type I) 당뇨병 환자에서 급격한 당화혈색소 감소와 관련된 양안 당뇨유두병증
- 초음파유화술의 높고 낮은 유체 역동학 지표들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양안 백내장 동시수술에 대한 효용성과 안전성
- 시각증상으로 안과에 내원하여 편두통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분석
- 안구위축환자에서 히알루론산 필러 구후 주입 후 발생한 하안검 부종의 치료
- 안통과 충혈을 주소로 내원한 라디우스-마메니 증후군 환자 증례
- 큰 황반원공에서 시행한 내경계막 자가이식술
- 양이측반맹을 보인 에탐부톨 시신경병증
-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주변부 맥락막두께 측정
- Dynamic Contour Tonometry와 안혈류분석계의 안구 박동 크기 비교
- 속발외사시의 수술 결과 및 예후인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